Bladder Preservation by Combined Modality Therapy for Invasive Bladder Cancer : A Five-Year Follow-up

근침윤성 방광암에서 화학방사선 병용을 통한 방광보존치료

  • Cho Jae Ho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im Jihoon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eong Jinsil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yo Hong Ryull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oom Woong Soup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uh Chang Ok (Department of Radiation Oncolgy, Yonsei Cancer Center,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Hong Sung Jun (Department of Urology, Yonsei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조재호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교실) ;
  • 임지훈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교실) ;
  • 성진실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교실) ;
  • 표홍렬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교실) ;
  • 금웅섭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교실) ;
  • 서창옥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연세암센터, 방사선종양학교실) ;
  • 홍성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비뇨기과학교실)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Purpose : To determine the long-term results of bladder-preserving approach by transurethral resection of the bladder (TURB), systemic chemotherapy, and radiation therapy for muscle-invasive bladder cancer Methods and materiaals : From 1991 Jan. through 1994 Dec., 25 patients with muscle invading clinical stage T2 to T4NxM0 bladder cancer were treated with induction by maximal TURB and (arm 1, n=4) three cycles of chemotherapy [MVAC(methotrexate, vincristine, adriamycin, ciplatin)] followed by 64.8 Gy of radiation with concomitant cisplatin, or two cycles of chemotherapy [MCV (methotrexate, ciplatin, vincristine)] after irradiation with concomitant cisplatin (arm 2, n=14), or concurrent chemoradiation only (arm 3, n=7). Tumor response was scored as a clinical complete response (CR) when the cystoscopic tumor-site biopsy and urine cytology results were negative. Those with less than a CR underwent cystectomy. The median follow-up of all patients was 70 months. Resulst : Most treatment toxicities were mild to moderate. Grade 3 acute hematologic toxicity and chronic cystitis were observed in only 1 and 2 patients, respectively. Overall 5 year survival was $67.3\%$. Complete remission rate was $80\%$ (20/25). Sixty-three percent of all survivors retained their bladders. In multivariate analysis, prognostic factors that significantly affect survival were T-stage (p=0.013) and Complete remission (p=0.002). Conclusion : Combined modality therapy with TURB, chemotherapy, and radiation has a $67.3\%$ overall 5 year survival rate. This result is similar to cystectomy-based studies for patients of similar clinical stages.

목적 : 근침윤성 방광암에서 경요도 절제술 후 화학방사선 병용을 통한 방광보존치료를 시행하여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그 예비 결과를 발표한 바 있으며, 장기 추적 관찰 결과를 토대로 본 치료법의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1년부터 1994년까지 병기 T2 에서 T4NxM0의 근침윤성 방광암을 가진 25명의 환자에 방광보존치료법이 시행되었다. 경요도절제술을 통해 가능한 최대한의 방광 종양을 제거한 후 항암제와 방사선요법을 병용하여 시행하였다. 병용치료는 methotrexate, vincristine, adriamycin, cisplatin (M-VAC) 제제로 3회 전보조화학요법을 먼저 시행한 후 cisplatin이 방사선 조사 첫째 주와 넷째 주에 동시에 투여되는 동시화학방사선 요법이 시행되거나(1군), 동일하게 동시화학방사선 요법이 먼저 시행되고 이후 methotrexate, cisplatin, vinblastin (MCV) 제제로 화학요법을 2회 시행하거나(2군), 또는 동시화학방사선 요법만 시행되었다(3군). 각 군의 환자분포는 1군 4명, 2군 14명, 3군 7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하루에 1회 1.8 혹은 2 Gy를 $40\~45\;Gy$ 정도까지는 진골반에 조사한 후 방광 전체에 추가로 $9\~10\;Gy$를 추가 조사하고, 다시 방광내 종양 부위에 추가 조사하여 총 $60\~65\;Gy$까지 조사하였다. 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70개월 이었다. 결과 : 본 치료와 연관된 독성은 대부분 Grade 2 이하의 경미한 독성이었으며, Grade 3 이상의 독성은 급성합병증으로 혈액학적 독성 1예와 만성합병증으로 방사선 방광염이 2예가 있었다. 전체 대상환자의 5년 생존율은 $67.3\%$였다. 25명 중 20명$(80\%)$에서 화학방사선 병용요법 후 완전 관해를 얻었다. 또한 전체 생존환자 16명 중 10명$(63\%)$에서 방광을 보존하고 있었으며,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한 다변량분석을 시행하였는데, T-병기(p=0.013), 완전관해 유무(p=0.002)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인자였다. 결론 : 본 기관에서 시행되어진 근침윤성 방광암에 대한 방광보존치료법은 기존의 근치적 방광절제술에 비하여 대등한 치료성적을 내는 동시에 $63\%$에서 장기보존이 가능하였다. 따라서 본 치료법이 방광암의 치료에 적극적으로 적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하며 향후 여러 기관이 참여하는 활발한 연구를 통해 한국인에게 가장 적절한 치료법을 개발해야 될 것으로 생각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