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OF BILATERAL SUPERNUMERARY TEETH IN THE MANDIBULAR INCISOR REGION : A CASE REPORT

하악 전치부에 양측성으로 발생한 과잉치의 치험례

  • Jeong, Nae-Jeong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Jung-Wook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Chong-Chul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and Dental Research Institute College of Dentistry, Seoul National University)
  • 정내정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김정욱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 ;
  • 이상훈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및 치학연구소)
  • Published : 2001.02.28

Abstract

Supernumerary tooth is one of the abnormalities in tooth number. Supernumerary tooth result from excessive proliferation of dental lamina and incidence reports identify a range of $0.3\sim0.8%$ in primary dentition, $1.0\sim3.5%$ in permanent dentition with males being affected twice as frequently as females, maxilla nine times as frequently as mandible The incidence is more in anterior tooth region than in posterior region. The most common supernumerary tooth is the mesiodens, which located between maxillary central incisors. The occurrence is very rare in the incisor region of mandible and the reports on incidence is 2%. In this case, there were two supernumerary teeth in the mandibular region and we could acquire normal alignment of mandibular incisors by extraction and orthodontic treatment.

소아치과에 내원한 환아 중에서 치아의 수에 따른 이상을 많이 관찰할 수 있는데 그 중의 하나가 과잉치이다. 과잉치는 정상 치판 (dental lamina)의 과도한 증식의 결과로 발생되며 유치열에서 $0.3\sim0.8%$, 영구치열에서는 $1.0\sim3.5%$의 발생빈도를 보인다. 2 : 1로 남자에게 호발하고 9 : 1로 상악에 호발하며 구치부보다 전치부에 많이 발생한다. 가장 호발하는 것은 상악 정중 과잉치로 상악 중절치 사이에 위치하며 하악 전치부에서는 2%로 낮은 빈도를 보인다. 본 증례는 파노라마 사진 촬영 결과 하악 좌우측 유중절치의 선천적 결손과 4개의 영구 절치외에 2개의 과잉치가 전치부에 관찰되어 발치와 교정치료를 통해 양호한 결과를 얻게 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