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단 변위 판막술을 이용한 매복 상악 중절치의 맹출유도

ERUPTION GUIDANCE OF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WITH APICALLY POSITIONED FLAP

  • 류현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권훈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Ryu, Hyun-S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Kown, Hoon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Chang-Seop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발행 : 2001.08.31

초록

상악중절치의 매복은 임상적으로 흔히 볼 수 있다. 대부분의 경우 중절치는 협측에 매복되어 있다. 이러한 협측매복은 치료가 무척 어렵다. 협측매복시 치은퇴축과 부착치은의 상실,치주낭이 발견된다. 따라서 성공적인 치료를 위해서는 외과적 술식을 통해서 부착치은의 소실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다. 매복치의 위치와 부착치은의 양에 따라 수술방법으로 간단한 치은절제술(gingivectomy)외에도 필요하면 근단변위판막술(apically positioned flap), 측방변위판막술(laterally positioned flap), 유리치은 이식술(free gingival graft) 등과 같은 여러 판막술과 치아의 생리적인 맹출기전을 복제한 폐쇄 맹출법 (closed eruption technique)을 고려 할 수 있다. 하지만 치은절제술은 근단변위판막술에 비하여 부착치은의 양이 적어 많은 양의 부착치은 이 필요한 경우에는 근단변위판막술이 적응증이며 매복치아가 nasal spine근처에 있을 때는 폐쇄 맹출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본 증례에서 두 증례에서는 근단변위 판막술을 한 증례에서는 폐쇄 맹출법을 사용한 바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폐쇄 맹출법이 더 심미적이었으나 부착치은의 양은 작았다. 이에 상악 중절치의 매복의 경우에서 올바른 임상적, 방사선학적인 검사를 통해 적응증에 맞는 외과적 수술로써 외과적 견인후 합병증을 최소화할 수 있었다.

It is a relatively common clinical experience to see a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Most often, the central incisor is impacted labially. The labial impaction has been indicated as the most difficult to manage. The labial impactions have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mucogingival recession, reduced attached gingiva and periodontal pockets. For the successful treatment, clinicians should avoid loss of attached gingiva in surgical exposure. The most common methods of uncovering labially impacted maxillary anterior teeth are gingivectomy, apically positioned flap and closed eruption technique. If gingivectomy will not leave enough attached gingiva, then an apically positioned flap may be the treatment of choice. If the tooth is impacted in the middle of the alveolus or high in the vestibule near the nasal spine, the closed eruption technique may be the treatment of choice. Closed eruption technique was used in one case, apically positioned flap was used in two case. As the result in two cases of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apically positioned flap provide the adequate width of attached gingiva. In case of impacted maxillary central incisor, through the clinical and radiologic examination to select correct surgical operation for reduce the complication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