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PIDEMIOLOGIC STUDY ON THE PEDIATRIC PATIENTS IN DEPARTMENT-OF PEDIATRIC DENTISTRY, CHOSUN UNIVERSITY DENTAL HOSPITAL FOR LAST 10 YEARS(1990-1999)

최근 10년간 조선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신환에 관한 역학적 연구(1990-1999)

  • Ryu, Hyun-Seop (Department of Pediatric,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Kim, Hyo-Suck (Department of Pediatric,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Chang-Seop (Department of Pediatric,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 Lee, Sang-Ho (Department of Pediatric, College of Dentistry, Chosun University)
  • 류현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김효석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창섭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 이상호 (조선대학교 치과대학 소아치과학교실)
  • Published : 2001.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ake public oral health plan more effective and the improvement of the hospital management system for better clinical dental practice. Distribution and trends were examined in all patients who had been examined and diagnosed at Department of Pedodontics, Dental Hospital, Chosun University over 10 year-period from 1990 to 1999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number of patients per year was increasing trend after 1996 and higher visiting rate in male(55.9%) than in female(44.1%). 2. Age distribution had shown $3\sim4$ year-old cup being the largest (23.4%) and each percentage of $5\sim6,\;7\sim8,\;0\sim2,\;9\sim10,\;11\sim12,\;13\sim14,\;above\sim15$ year-old group was 19.9%, 17.7%, 14.6%, 12.6%, 8.0%, 3.3%. 0.5%. 3. Geographic distribution showed a majority of patients in Kwang-Ju (83.0%). Group in the suburbs of Kwang-Ju(Jang-Sung group) was 5.4%. 4. Dental carie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40.5%) in chief complaints and percentage of oral exam, orthodontic problem, oral pain, trauma, supernumerary teeth, swelling was 13.9% 12.6%, 8.8%, 7.4%, 5.5%, 4.9%. 5. In all patients with traumatic problem, crown fracture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41.4%) and percentage of subluxation was 19.4%. 6. Majority(78.7%) of patients were not refered, and percentage of patients refered from local clinic was 20.5%. 7. Patients who had periodic check-up comprised 19.6%, and percentage of after 3, 6, 9, 12, 18, 24month was 36.7%, 22.2%, 13.5%, 11.3%, 5.4%, 11.0%.

본 연구는 소아환자들의 변화하는 특성을 파악하고 이해함으로써 환자나 보호자와의 적절한 의사소통을 위한 자료나 정보 제공을 용이하게 하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며, 또한 국내 다른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와 비교 분석하여 이 지방의 소아환자의 치료의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를 위해 1990년 1월 1일부터 1999년 12월 31일 까지 조선대학교 부속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모든 신환아동을 대상으로 하여 분포와 변화추세를 조사 연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내원환자의 수는 96년 이후 증가 추세이며, 남자가 55.9%, 여자가 44.1%로 남자가 여자보다 많은 비율을 보였다(P>0.05). 2. 연령별 분포에서 $3\sim4$세 군의 내원율이 23.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5\sim6$세 군이 19.9% $7\sim8$세 군이 17.7%, $0\sim2$세 군이 14.6%순 이었다. 3. 내원환자의 거주지 분포에서 광주시내 거주자가 내원환자의 83.0%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근거리 광주시외 거주자는 5.4%를 보였다. 4. 내원환자의 주소(chief complaint)별 분포에서 충치 치료를 주소로 내원한 경우가 40.5%로 가장 많았고, 구강검진이 13.9%, 교정적 문제가 12.6%를 보였다. 5. 외상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중 치관 파절이 41.4%로 가장 많았고, 아탈구가 19.4% 진탕이 12.0%, 완전탈구가 11.4%, 함입이 9.3%를 차지하였다. 6. 내원동기의 분포는 의뢰되지 않은 경우가 78.7%를 차지하고, 의뢰된 경우 중 치과의원에서 의뢰된 경우가 전체의 20.5%이고, 치과의원에서 의뢰된 경우 중 진료의 난이도 때문이 12.7%, 행동조절의 어려움 때문이 6.2%를 나타냈다. 7. 주기적인 검사가 되는 환자가 전체환자의 19.6%를 차지하였고, 그 중 3개월 후가 36.7%, 6개월 후가 22.2%, 9개월 후가 13.5%를 나타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