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제27권3호
- /
- Pages.214-220
- /
- 2001
- /
- 2234-7550(pISSN)
- /
- 2234-5930(eISSN)
정모 및 측모 두부 방사선 규격사진을 이용한 3차원 계측 프로그램의 개발 -1. 단일 방사선원으로 촬영된 두부 방사선사진의 두부 위치 보정을 이용한 3차원 좌표의 산출-
DEVELOPMENT OF THREE DIMENSIONAL MEASURING PROGRAM WITH FRONTAL AND LATERAL CEPHALOMETRIC RADIOGRAPHS -PART 1. COMPUT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BY COMPENSATION OF THE ERROR OF THE HEAD POSITION IN ORDINARY NON-BIPLANAR CEPHALOSTAT-
- 이근호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이상한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장현중 (경북대학교 치과대학 구강악안면외과학교실) ;
- 권대근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치과 구강외과학교실)
- Lee, Geun-Ho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Ha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ang, Hyon-Joong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Dent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won, Tae-Geon (Dept. of Oral & Maxillofacial Surgery, College of Medicine, Keimyung University)
- 발행 : 2001.06.30
초록
안면비대칭이나 반안면왜소증과 같은 구강악안면영역의 기형에 대한 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을 위하여 두개 악안면 구조물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이에 두부 규격 방사선 사진을 이용한 3차원 두부 계측 방사선 시스템의 임상적 적용이 계속 시도되었으나 주로 두 방향의 방사선원으로부터 동시에 얻어진 standard Broadbent-Bolton cephalometer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단일방사선원에 의하여 촬영된 한 쌍의 정모 및 측모두부방사선 사진으로 정확한 3차원 좌표치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고 이렇게 얻어진 3차원 좌표치의 정확도와 재현성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정모, 측모 두부 방사선 사진을 동시에 촬영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생기는 오차를 보정해주는 수학적인 공식을 산출하고 이 공식에 의거하여 정모 두부 방사선 사진에 기준한 측모 두부 방사선 계측 사진의 위치 결정시의 오차를 건조 두개골을 이용하여 검증한 결과 1차와 2차 측정시 각각 평균
The clinical application of the three-dimensional radiographic technique had been limited to standard Broadbent-Bolton cephalometer with biplanar stereoradiography. We developed a new method for compensating the error of head position in ordinary non-biplanar cephalostat. It became to possible to use the three dimensional cephalogram commonly in clinical bases. 1. The method of methemetical compensation of head positioning error in non-biplanar condition was evaluated with dry skull. The error of the method of first and the second trial wa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