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antioxidative activities from different organs of Rosa rugosa Thunb

해당화의 채취 부위별 항산화 활성 비교

  • Kim, M.J. (Division of Applied Pla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J.S. (Division of Applied Pla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Kim, K.E. (Division of Applied Pla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Shin, K.H. (Natural Products Research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eo, K. (Division of Applied Pla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Cho, D.H. (Division of Applied Pla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Park, C.H. (Division of Applied Pla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u, C.Y. (Division of Applied Plant Science, College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김명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김주성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김기은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신국현 (서울대학교 천연물과학연구소) ;
  • 허권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조동하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박철호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 유창연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식물응용과학부)
  • Published : 2001.03.31

Abstract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Vitamin contents in different plant parts and harvesting time of Rosa rugosa Thunb were determined. Among the plants parts analysed, the highest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n part was root $(below\;0.5\;{\mu}g/ml)$, leaf contained the highest ascorbic acid content of 2999.6 mg/100g. Fruit contained ascorbic acid (713.6 mg/ 100g) 4.2 times less than leaf. Vitamin contents in leaf parts also differed depanding on harvesting time. Vitamin content in leaf harvested in November was much higher than that in September. Spectrophotometric analysis of total ${\beta}-carotene$ in leaf showed lower contents than that in fruit.

해당화의 항산화 활성 및 ascorbic acid(vitamin C)와 ${\beta}-carotene$ (provitamin A)의 부위별 및 채취시기별 함량분포를 조사하였다. 항산화활성에서는 뿌리 $(RC_{50}\;=\;0.5{\mu}g/ml$이하)와 줄기 $(RC_{50}\;=\;0.5{\mu}g/ml)$부분이 특히 강하였으며 부위별로 보면 뿌리, 줄기, 잎, 열매 순으로 나타났고, 부위별 ascorbic acid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잎, 열매, 줄기, 뿌리 순으로 감소하였으며 특히 11월에 채취한 시료의 경우 잎에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는 열매의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해당화는 약 4.2배로 매우 높은 함량임을 알 수 있다. 해당화는 11월에 채취한 것이 9월에 채취한 것보다 약 $1.59\;{\sim}\;1.77$배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부위별 ${\beta}-carotene$의 함량분포를 보면 해당화는 열매, 잎 순으로 함량이 낮아짐을 알 수 있으며, 11월에 채취한 해당화 열매의 f-carotene 함량이 높았고, 줄기와 뿌리에서는 ${\beta}-carotene$이 확인되지 않았으나 ether extract량으로 볼 때 carotene 이외의 성분의 존재를 예측할 수 있었다. 잎의 ${\beta}-carotene$ 함량은 해당화의 경우는 9월에 채취한 것이 11월에 채취 한 것보다 약간 높았다. 이상의 실험 결과로 볼 때 해당화에는 ${\beta}-carotene$이나 비타민 C 같은 항산화 비타민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앞으로 이를 이용한 기능성 식품 개발이 기대되어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