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litical Economy of Privatization of Public Utilities

공익산업의 민영화에 대한 정치$\cdot$경제적 접근

  • 이행 (인제대학교 정치외교학과) ;
  • 채두병 (인제대학교 경제학과)
  • Published : 2001.12.01

Abstract

Neoliberalism became a catch word of a post-cold war era. It began to develop in the middle of welfare state crisis in developed countries. It promoted both a unified world market through mutual penetration of national boundaries in International scene and maximization of efficiency through market competition in domestic scene. Privatization of public corporations is a major policy to pursue market efficiency through deregulation. Two reasons are often adduced to support the cause The socio-economic changes diminished the necessity to establish public corporation on the one hand. On the other hand gross inefficiency has been observed in the management of public corporation. 'Government failure' is an apt expression of the inefficiency. In analysing the experiences of privatization of utility industries of some other countries we found a couple of lessons for a Korean case. First, it is doubtful if privatization, that is a change in the form of ownership,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achieving market efficiency. Because it is possible to operate a mechanism of market competition while maintaining competition among public corporations and with private actors. Second, the patron-agent dilemma is often cited as a major culprit of an inefficient management of public corporations. But it is without saying that the dilemma is also found in the management of private firms. So, the issue is not the privatization per se but to realize responsible management through discipline and incentives.

70년대 유럽의 선진 복지국가의 위기로부터 확산되기 시작한 신자유주의의 이념적 공세는 베를린 장벽이 붕괴되면서 그 정점에 이른 것으로 보인다. 신자유주의는 국제적으로는 국경의 상호 침투를 통한 범세계적 단일 시장의 형성을, 그리고 국내적으로는 시장의 효율성의 극대화를 주창하였다. 공익산업의 민영화는 정부의 시장에 대한 탈규제 조치의 중심적인 정책이었다. 공기업 민영화의 저변에는 경제 환경의 변화에 따라 초기공기업 설립 당시의 필요성이 소멸되었다는 점과 "정부의 실패"라는 말처럼 공기업 경영상의 비효율성이 놓여 있다. 한국이 직면한 공기업 민영화의 과제를 염두에 두고 공익산업의 민영화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를 영국과 미국, 칠레의 경험에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발견할 수 있다. 첫째, 민영화라고 하는 소유구조의 변경이 경쟁의 도입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요건인지에 대한 의문이다 공기업 민영화가 시장에서의 민간 기업 사이의 경쟁체제를 도모하는 것이지만 공기업 위주의 경쟁체제도 가능하기 때문이다. 둘째, 공기업의 경영비효율성의 원인으로 지적되는 대리인 문제는 민간기업 부문에서도 여전히 발생하는 문제이다. 따라서 민영화라고 하는 소유구조의 개편이 문제 해결의 열쇠가 아니라 효율적기업 감시체제를 도입하고, 경영성과에 대한 규율 및 유인체제를 도입함으로써 책임 경영을 실현하는 것이 관건이라고 할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