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TREATMENT RESULTS OF A DAY TREATMENT PROGRAM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발달 장애 아동에게 시행된 주간 치료실 프로그램의 치료 결과에 대한 고찰

  • Kwak, Young-Sook (Department of psychiatry, Cheju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Kang, Gyung-Mi (Department of Child-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
  • Lee, Hae-Sook (Department of Child-Adolescent Psychiatry, Seoul National Mental Hospital)
  • 곽영숙 (제주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
  • 강경미 (국립서울정신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
  • 이혜숙 (국립서울정신병원 소아청소년정신과)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Objective:This was conduced to evaluate the effect of early intervention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Methods:49 children(31 in PDD group and 18 in DLD group) participated in a one year day treatment program conduced from 1996 to 1999. They were performed PEP, CARS, and SMS. They were grouped by diagnosis, comorbidity, chronological age and CARS score at the beginning of the program and the treatment effect was compared. Results:Th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e day treatment program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their PEP, SMS score, and decrease trend in their CARS score. When children were grouped by diagnosis, comorbidity, chronological age, and severity in CARS score we did not find ou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Conclusion:Our data suggest that the day treatment program which emphasis on development is effective in treat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s.

연구목적:본 연구는 발달 장애 아동들에 행해진 주간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및 치료 결과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방 법:발달 장애 아동들의 애착 형성을 향상시키고 부모-아동의 상호작용 증진을 통한 발달 촉진을 목적으로 국립서울정신병원 주간 치료실에서 1996년 이후 1년 단위로 3년간 시행된 치료 프로그램에 참석한 2세에서 7세의 발달 장애 아동(전반적 발달 장애-31명, 기타 발달 장애-18명) 4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정신과 전문의 2인 이상에 의하여 진단되었고 추적 진료 동안의 언어 치료사, 작업 치료사, 사회 사업가의 평가와 관찰, 간호사 관찰 및 보호자로부터의 정보를 통하여 진단적 신뢰도를 높였다. 이들에서 프로그램 참여 기간 동안의 교육 진단 검사(PEP), 아동기 자폐증 평정척도(CARS), 그리고 사회 성숙도 검사(SMS)상의 변화를 추적 조사하였고, 프로그램 참여시의 진단, 신체 연령 및 발달 연령, 동반 질환 등에 따라 분류하여 치료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 과:프로그램에 참여한 아동들은 PEP 종합 점수와 SMS 사회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진전을 보였다. 치료 시작시 발달 연령, 동반 질환, 그리고 CARS점수의 중증도에 따른 각 집단에서 치료 효과상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 론:발달 장애 아동들을 위한 주간 치료실에서의 발달 증진 프로그램의 결과는 참여한 아동 모두에게 효과적이었다. 향후 동반 질환의 특성과 발달 연령에 맞는 특수 치료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