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f Current Status of the Patients with Home Ventilator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서울 및 경기 지역 환자의 실태

  • Ahn, Jong-J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Hospital) ;
  • Lee, Ki-M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Ulsan University Hospital) ;
  • Shim, Tae-Su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Lim, Chae-Ma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Lee, Sang-Do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Woo-Su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Dong-Soo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im, Won-Do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 Koh, Youn-Suck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College of Medicine, Asan Medical Center)
  • 안종준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 병원) ;
  • 이기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울산대학교 병원) ;
  • 심태선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임채만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이상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김우성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김동순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김원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 고윤석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중앙병원 호흡기내과)
  • Published : 2000.11.30

Abstract

Background : Home ventilation can decrease hospital-acquired infection, increase physical activity, improve nutritional status, enhance quality of life, and reduce medical costs. The number of patient using home ventilators has been increasing, particularly in Europe and United States. Although the number of patients with home ventilation has been increasing in Korea, the current status of these patients is not well known.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obtain basic information upon these patients in addition to evaluating any problems related to patients' home care in our country. Methods : A register of 92 patients with home ventilators in Seoul and Kyunggi Province were obtained from commercial ventilator supply companies. The patients were contacted by phone and 29 of them accepted our visit. Information concerning education about home care before discharge, equipment cost, and problems related to home care were documented. The mode and preset variables of the home ventilator were checked; tidal volume (TV), peak airway pressure, and oxygen saturation were measured. Results : There were 26 males (90%) and their mean age was 48.0 (${\pm}20.1$) years. The underlying diseases were : 21 neuromuscular disorders, 2 spinal cord injuries, 6 chronic lung diseases. Among the caregivers, spouses (n=14) predominated. Education for home care before discharge was performed primarily by intensive care unit nurses and the education for ventilator management by commercial companies. Twenty-five of the 29 patients had tracheostomies. Volume targeted type (VTT ; n=20, 69%) was more frequently used than the pressure targeted type (PTT). Twenty-three of the 29 patients purchased a ventilator privately, which cost 7,450,000 (${\pm}$3,290,000) won for a PTT, and 14,280.000 (${\pm}$3,130,000) won for a VTT. Total cost for the equipment was 11,430,000 (${\pm}$634,000) won. The average cost required for home care per month was 1,120,000 (${\pm}$1,360, 000) won. Conclusion : The commonest underlying disease of the patients was neuromuscular disease. The VTT ventilator was primarily used with tracheostomy.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onsidered the financial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purchasing and maintaining equipment for home care an urgent problem. Some patients were aided by a visiting nurse, however most patients were neglected and left without professional medical supervision.

서론 : 최근 발달된 기술로 작고 기능이 뛰어난 가정용 인공호흡기가 개발되어 구미에서는 장기간 기계환기가 필요한 만성호흡부전 환자를 대상으로 그 사용아 점차 보편화 되어 가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가정에서 기계환기치료의 적용이 최근 확산되고 있으나 이 치료법에 대한 임상 경험 보고나 그 실태 조사 자료가 거의 없어 이에 대한 기초 자료의 조사가 필요한 상태이다. 본 연구는 장기간 기계환기 보조가 필요하여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에서 간호 관리의 문제점과 가정용 인공호흡기 사용 실태를 조사하기 위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 서울 및 경기 지역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는 환자 92명의 명단을 인공호흡기를 공급 관리하는 업체에서 제공 받아 전화 통화를 시도하여 방문에 동의하는 2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 환자의 집을 방문하여 병력 청취와 신체 검사를 시행하였고, 환자 간호 관리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의 내용에는 간호 관리에 대한 사전 교육 여부, 의료인의 가정 방문 여부, 인공호흡기 이상의 경험 여부, 인공호흡기 및 부가 장비의 구입 경비, 환자 간호와 연관된 문제점 및 개선을 위한 제안 등이 포함되어 있었다. 가정용 인공호흡기의 설정 요소들을 확인하고, 측정되는 일회호흡용적(tidal volume), 최대 기도압, 산소포화도 등을 기록하였다. 연구결과 : 1) 방문을 마친 환자 29명중 남자는 26명(90%)이었고, 나이는 48.0(${\pm}$20.1)세였다. 환자들의 기저 질환은 신경근 질환 21명(72.4%), 척수 손상 2명(6.9%), 만성 폐질환 6명(20.7%)이었다. 2) 간호 관리자는 배우자가 14명(48.3%)으로 가장 많았으며, 가정 간호 관리를 위한 사전 교육은 주로 입원 중 간호사로부터 배우고 있었다. 3) 인공호흡기를 구입하여 사용하는 경우는 23명으로 압력달성양식(pressure targeted type)은 745(${\pm}$329)만원, 용적달성양식(volume targeted type)은 1,428(${\pm}$313)만원이 각각 소요되었다. 장비 구입에 소요되는 총 비용은 1,13l(${\pm}$653)만원이었다. 환자를 간호 관리하는데 1개월간 소요되는 평균 비용은 112(${\pm}$136)만원이었다. 4) 29명의 환자 중 25명 (86%)은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상태로 기계환기를 시행하고 있었다. 인공호흡기는 용적달성양식이 20명(69%)으로 압력달성양식(9명, 31%)보다 더 많았다. 결론 : 우리나라에서 가정용 인공호흡기를 사용하는 환자는 신경근 질환 환자가 가장 많았고, 대부분 기관절개술을 시행한 상태로 경보 기능을 가진 용적달성양식을 많이 사용하고 있었다. 환자와 가족들은 장비 구입 및 유지와 연관된 경제적인 어려움을 당연한 문제로 제시 하였으며 환자들 중 일부는 가정간호사들의 도움을 받고 있었으나 의사들의 지속적인 감시를 받지 못한 채 방치되어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