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 Among Parameters Determining the Severity of Bronchial Asthma

기관지천식 환자의 증상의 중증도를 나타내는 지표들간의 연관성

  • Lee, Sook-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Seung-Jun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Seuk-C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won, Soon-S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Young-Ky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Kim, Kwan-H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Moon, Hwa-Si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Song, Jeong-S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 Park, Sung-Ha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ollege)
  • 이숙영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승준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석찬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권순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영균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관형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문화식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송정섭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성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0.11.30

Abstract

Background : International consensus guidelines have recently been developed to improve the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asthma. One of the major recommendation of these guidelines is that asthma severity should be assessed through the recognition of key symptoms, such as nocturnal waking, medication requirements, and objective measurements of lung function. Differential classification of asthma severity would lead to major differences in both long term pharmacological management and the treatment of severe exacerbation. Methods :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ymptom score and measurements of $FEV_1$ and PEF when expressed as a percentage of predicted values in asthmatics (n=107). Results : The correlation of $FEV_1$ % with PEFR% was highly significant (r=0.83, p<0.01). However, there was agreement in terms of the classification of asthma severity in 76.6% of the paired measurements of $FEV_1$ % and PEFR%. Agreement in the classification of asthma severity was also found in 57.1% of the paired analysis of $FEV_1$ % and symptom score. 39% of the patients classified as having moderate asthma on the basis of $FEV_1$ % recording would be considered to have severe asthma if symptom score alone were used. Low baseline $FEV_1$ and high bronchial responsiveness were associated with a low degree of perception of airway obstruction. Conclusion :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symptom score, PEFR and $FEV_1$ were generally poor. When assessing asthma severity, age, duration, $PC_{20}$, and baseline $FEV_1$ should be considered.

연구배경 : 기관지천식의 치료는 증상(천식 증세의 빈도, 야간천식 증상의 빈도), $FEV_1$ %. PEFR%의 일중변동률을 기준으로 중증도를 4단계로 나누어 단계별 치료를 하는 것이 중요하다. 실제 중증도를 결정하는 지표들 간에 단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아 치료 단계를 결정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지표들이 얼마나 일치하는 지 분석하고, 차이가 있는 경우 이에 관여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NIH 의 기관지천식 지침서를 기준으로 환자의 주관적인 증세를 기준으로 한 중증도와 폐기능($FEV_1$ %) 검사에 의한 중증도가 얼마나 일치하는 지, 또 PEFR %와 $FEV_1$ %에 의한 중증도가 얼마나 일치하는 지 알아보고, 각 지표들간에 단계의 차이를 보이는 경우에 이에 환자의 연령, 기관지천식의 이환기간, $PC_{20}$, $FEV_1$ % 등의 요인이 관여하는 지 분석하였다. 결과 : $FEV_1$ %를 기준으로 한 중증도와 PEFR%를 기준으로 한 중증도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23.4%이었고, 이중 $FEV_1$ %에 의한 기준으로는 경증군이면서 PEFR%에 의한 중증도에서 중등도군으로 분류된 경우가 가장 많았다. 이러한 환자군은 그 반대인 환자, 즉 PEFR%를 기준으로 한 중증도보다 $FEV_1$ %를 기준으로 한 중증도가 심한 환자에 비해 환자의 연령이 많았고, 이환기간은 짧았다. 또 $FEV_1$ %와 증상에 의한 중증도가 다른 경우가 42.9% 이었으며, 이 중 63.0%가 증상에 의한 중증도가 $FEV_1$ %를 기준으로 한 중증도에 비해 심하게 분류되었다. 폐기능을 기준으로 한 중증도가 증상에 의한 중증도보다 심한 환자군은 기도과민반응 정도가 심하였으며 기도폐쇄 정도도 심한 경향을 보였다. 결론 : 기관지천식 환자의 중증도를 결정할 때에는 어느 한 지표에 의존하지 말고 연령, 이환기간, 기도과민반응 정도, 기도폐쇄정도 등의 요인을 고려해서 여러 지표들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