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der Differences of Susceptibility to Lung Cancer According to Smoking Habits

흡연습관에 따른 폐암발생 감수성에 대한 성별의 차이

  • Choi, Chung-K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Dong Eui Hospital) ;
  • Shin, Kyeong-Ch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wan-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최충경 (동의병원 내과) ;
  • 신경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관호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00.11.30

Abstract

Background : With the increase of cigarette consumption by women and the young, the incidence of lung cancer is expected to increase during the next three or four decades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moking habits in patients with lung cancer and to identify the gender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susceptibility to cigarette related carcinogens. Method : This investigation was a hospital-based case control study, which included the data of 178 case subjects (72 females, 106 males) with lung cancer and 218 control subjects (97 females, 121 males) with diseases unrelated to smoking. The information was obtained through a direct personal interview and a questionnaire related to personal smoking history. Results : The relative frequency of the squamous cell carcinoma was substantially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61.3% in males, and 29.2% in females), while adenocarcinoma including bronchoalveolar cell carcinoma was higher in females(31.9% in females, 18.9% in males). Kreyberg I lung cancer was of relatively higher frequencies in males and smokers, while Kreyberg II lung cancer was higher in females and never smokers. The odds ratios (ORs) at each exposure level were consistently higher in females than males. For all cell types, the risk of lung cancer was increased with the quantity of smoked cigarettes, duration of smoking, and depth of inhalation. Odds ratio was distinctly higher in Kreyberg I lung cancer than in total lung cancer and a steeper gradient of risk with increased smoking was observed in females. Conclusion : The relative risk for lung cancer was consistently higher in females than in males at every level of exposure to cigarette smoke. This is believed to be due to the higher susceptibility of females to tobacco carcinogens, such as gender associated differences of carcinogen activation and/or the elimination of smoking related metabolites.

연구배경 : 흡연이 폐암발생의 중요한 원인이라는 사실은 분명하지만 흡연 양이나 흡연기간 뿐만 아니라 흡연과 관련된 여러 요소들의 역할도 중요하게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남녀별 흡연력 및 흡연과 관련된 요소들에 대한 폐암의 발생위험도를 구하여 담배 속 발암물질에 대한 남녀별 감수성 차이를 알아보았다. 방법 : 본 연구는 환자-대조군 연구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내과를 방문하여 폐 기능 검사를 받았던 사람들을 대상으로 흡연력 및 흡연량, 흡연습관에 관한 설문조사를 하였다. 조직학적으로 원발성 폐암이 확인된 경우를 대상환자로 하였고, 다변량 회귀분석을 이용하여 교차비를 구하고, 이를 폐암발생의 상대적인 발생위험도로 인정하였다. 결과 : 흡연력이 있었던 여자는 흡연력이 없는 경우에 비하여 교차비는 1.9이었으며, 특히 Kreyberg I의 경우 교차비는 3.8로 증가하였다. 또한 여자 중 현재흡연자의 교차비는 4.0으로 남자의 2.3보다 훨씬 높았다. Kreyberg I 여자 환자로 20갑 년 이상 흡연하였을 때 교차비는 5.4(남자 : 1.6), 하루 1갑 이상 흡연 하였을 경우 교차비는 6.9(남자 : 5.0)로 남자보다 훨씬 높았다. 흡입정도에 따른 교차비는 중등도 이상 흡입한 경우 여자 6.7, 남자 2.4로 여자에서 현저하게 높았으며, 한 개피 당 동일한 길이의 담배를 피웠을 때도 폐암의 발생 위험도는 여자가 높았다(여자 3.7:남자 2.0). 또한 필터 유 무에 따른 폐암 발생위험도의 차이는 남녀 모두에게 있었으나 여자에서 더 뚜렷하였다. 결론 : 흡연에 따른 폐암발생의 감수성은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았으며, 이러한 성별간 감수성의 차이는 흡연 양이나 흡연습관, 또는 환경적인 요인 뿐만 아니라 발암물질의 활성이나 제거 등과 같은 대사의 차이에도 그 원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