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nical Implication of Serum TNF-$\alpha$ and IL-1$\beta$ Measurement in Patients with Sepsis

패혈증환자에서 혈청 TNF-$\alpha$ 및 IL-1$\beta$

  • Kim, Jae-Yeol ;
  • Choi, Hyung-S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Lee, Choon-Tae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Young-Wha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Han, Sung-K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Min, Kyung-Up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Kim, Yoo-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him, Young-So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 Yoo, Chul-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 Lung Institute, Seoul National University)
  • 김재열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
  • 이춘택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폐 연구소) ;
  • 김영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폐 연구소) ;
  • 한성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폐 연구소) ;
  • 민경업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폐 연구소) ;
  • 김유경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폐 연구소) ;
  • 심영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폐 연구소) ;
  • 유철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및 의학연구원 폐 연구소)
  • Published : 2000.08.30

Abstract

Background : It is well known that when macrophages are stimulated with endotoxin, they produce a wide variety of cytokine mediators, including TNF-$\alpha$ and IL-1$\beta$. However, there is an alteration in the macrophages' responsiveness when they are challenged with repeated bouts of endotoxin, termed "endotoxin tolerance" which is regarded as a self-protective phenomenon from continuous stimulation. In this study, endotoxin tolerance in the peripheral blood monocytes of sepsis patients was evaluated. Methods : Fourteen patients with organism-documented sepsis were included. The severity of illness was evaluated by APACHE II score. Peripheral blood monocytes were isolated from the patients and diluted to $1{\times}10^5$ well. After stimulation with endotoxin (LPS of E. coli O114 : B4, 100 ng/ml), they were incubated at $37^{\circ}C$ in 5% $CO_2$ incubator for 24 hours. Supernatant was collected for the measurement of TNF-$\alpha$ and IL-1$\beta$ with ELISA method. Peripheral blood monocytes of seven healthy volunteers were used as control. Results : The APACHE II score (mean$\pm$SD) of the patients at the time of blood sampling was 12.2$\pm$5.7. The primary infection foci were urinary tract infection, pneumonia, subacute bacterial endocarditis, and catheter related infection, etc. The causative organisms were gram negative rods (10 cases), gram positive cocci (6 cases) with two cases of mixed infection. Serum TNF-$\alpha$ could be measured in 4 cases with 29.9$\pm$27.7 pg/ml. Serum IL-1$\beta$was measurable in only one patient. The TNF-$\alpha$ level of supernatant of cultured peripheral blood monocytes was 2,703$\pm$2,066 pg/ml in patients and 2,102$\pm$1914 pg/ml in controls. The IL-1$\beta$level of supernatant was 884$\pm$1,050 pg/ml in patients and 575$\pm$558 pg/ml in controls. There was no difference of TNF-$\alpha$ and IL-1$\beta$ level between patients and controls. Conclusion : We cannot prove the phenomenon of endotoxin tolerance in this study. Future study needs to be focused on the more severe sepsis patients who were taken for sampling earlier. Addition of serum to the culture medium could be an another valuable option for the success of this study.

패혈증에서는 지속적인 내독소 자극에 의해 염증 반응이 계속 유발될 수 있으나, 염증반응에 주도적인 역할을 하는 말초혈액 단핵구는 반응도를 스스로 낮춤으로서 염증 반응을 감소시키는 경향을 보이는데, 이러한 현상을 내독소 내성(endotoxin tolerance)라고 한다. 내독소 내성은 과다한 염증반응에 대한 자체의 방어작용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조직액에서 감염균이 증명된 패혈증 환자를 대상에서 추출한 말초 혈액 단핵구에서 내독소 내성의 현상을 관찰하고자 하였다. 방법 :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ociety의 Critical Care Medicine Consensus Conference에서 정한 sepsis의 기준을 만족하고, 감염균이 확인된 1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질환의 중증도는 APACHE II score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대상환자의 혈청에서 TNT-$\alpha$와 IL-1$\beta$의 농도를 측정한 뒤, 말초혈액 단핵구를 추출, 배양하여, 내독소(100 ng/ml)로 자극하였다. 내독소 자극 후 24시간 뒤에 배양 상층액에서 ELISA 방법으로 TNT-$\alpha$와 IL-1$\beta$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 대상 환자는 총 14명(남자 : 8 명, 여자 6명)으로 APACHE II score는 12.2$\pm$5.7 이었다. 감염의 원발 부위는 뇨관감염, 폐렴, 아급성심내막염, 도관감염, 급성담관염 등이었다. 감염 원인균은 그람음성 간균 10례, 그람 양성균 6례였고, 이 중에는 복합감염이 2례가 있었다. 환자군의 혈청 TNF-$\alpha$는 4명에서 측정이 기능했고 평균치는 29.7$\pm$527.7 pg/ml 이었다. IL-1$\beta$는 1명에서 측정가능했고 측정치는 16.1 pg/ml 이었다. 내독소 자극 후 말초혈액 단핵구 배양 상층액의 TNF-$\alpha$농도는 패혈증 환자는 2,703$\pm$2,066 pg/ml, 대조군은 2,101$\pm$1914 pg/ml 이었고, IL-1$\beta$ 농도는 환자군은 884$\pm$1,050 pg/ml, 대조군은 575$\pm$558 pg/ml으로 두 군 사이에 의미있는 차이는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패혈증 환자의 말초혈액 단핵구에서 내독소내성을 관찰할 수 없었다. 향후 보다 중증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고, 조기에 혈액을 채취하며, 말초혈액 상층액에 혈청을 추가하는 등의 보완을 통하여 재평가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