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발성 비특이성 간질성 폐렴 18례의 임상상 및 치료반응

Clinical Features and Treatment Response in 18 Cases with Idiopathic Nonspecific Interstitial Pneumonia

  • 강은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정만표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강수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안창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안종운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한정호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진단병리과) ;
  • 이경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영상의학과) ;
  • 임시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강북삼성병원 내과) ;
  • 서지영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김호중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권오정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 이종헌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호흡기내과)
  • Kang, Eun-Hae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ung, Man-Pyo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ang, Soo-Ju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An, Chang-Hyeok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Ahn, Jong-Woon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an, Joung-Ho (Department of Path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Kyung-Soo (Department of Radiolog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im, Si-Young (Department of Medicine, Kangbuk Samsung General Hospital,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uh, Gee-You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Ho-Joo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won, O-Jung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Rhee, Chong-H. (Division of Pulmonary and Critical Care Medicine,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발행 : 2000.04.30

초록

연구배경 : 특발성 폐섬유화증은 병리조직학 소견이 usual interstitial pneumonia(UIP)이면서 치료반응과 예후가 좋지 않은 질환이지만 1994년 처음 보고된 nonspecific interstitial pneumonia(NSIP)는 UIP와는 달리 치료반응 및 예후가 매우 좋아 정확한 감별 진단 및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지만 아직 특발성 NSIP의 임상적 특징 및 치료경과에 대한 보고가 별로 없어 UIP와의 감별이 쉽지 않은 실정이다. 방 법 : 1996년 7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성균관의대 삼성서울병원에서 외과적 폐생검을 통해 미만성 간질성 폐질환으로 확진된 120명 중 총 18례의 특발성 NSIP에 대한 임상적 특징 및 치료 경과를 의무기록 조사 및 방사선학적 분석을 통해 후향적으로 평가하였다. 결 과 : 1) 진단당시의 임상적 특징 18명의 환자중 17명이 여자였고 평균 연령은 $55.2{\pm}8.4$세(44~73세)였으며 호흡곤란 및 기침 이외에 발열이 6명의 환자에서 판정되었다. 이학적검사상 곤봉지는 1명에서만 관찰되었고 증상 발현후 병원을 찾기까지의 기간은 $7.3{\pm}16.9$개월, 외과적 폐생검까지의 기간은 $9.9{\pm}17.1$개월이었다. BAL 검사상 림프구가 $23.0{\pm}13.1%$로 증가되어 있었고 흉부 HRCT 소견상 봉와양 음영은 전혀 관찰되지 않으면서 간유리 음영 및 불규칙 선상 음영이 주로 관찰되었다. 2) 치료약제 및 부작용 13명이 스테로이드로 먼저 치료를 시작하였고 5명은 경구 cyclophosphamide 단독으로 치료를 시작하였다. 스테로이드로 치료를 시작한 13명 종 3명은 치료개시 1달 이내에 심각한 부작용으로 스테로이드 복용을 중단하여 2명은 경구 cyclophosphamide로 전환하여 치료를 계속할 수 있었으나 스테로이드 유발성 정신병이 유발된 1명은 향후 모든 치료를 포기하였다. 스테로이드로 치료를 계속 받은 10명에서는 대상포진 3례, 백내장 2례, 결핵 1례, 대퇴골 허혈 괴사 1례, 당뇨 1례 등이 유발되었고 7명의 경구 cyclophosphamide 복용 환자에서는 출혈성 방광염 1례, 대상포진 1례, 반복성 질염 1례 등이 부작용으로 나타났다. 3) 약물 치료후 반응 치료 시작후 $24.1{\pm}11.2$개월간 추적 관찰한 결과, 스테로이드를 복용한 10명 중 9명이 호전, 1명이 안정 상태를 보였고 경구 cyclophosphamide를 복용한 7명에서는 5명이 호전, 2명이 안전 상태를 보였다. 폐기능검사상 FVC(n=15)는 예측치 절대값으로 $20.2{\pm}11.2%$가 증가하였고 흉부 HRCT 소견상 간유리 음영의 면적(n=15)은 절대값으로 $15.7{\pm}14.7%$가 감소하였으며 추적검사상 봉와양 음영이 나타난 환자는 전혀 없었다. 4) 약물 치료 중단후 재발 호전후 약물 치료를 중단하였던 14명 중 5명이 재발하였고 2명은 스테로이드 감량중 악화되었다. 재발한 4명은 치료 중단 6개월 이내에, 1명은 10개월째에 재발하였고 치료 중단 1년내에 재발이 없었던 4명의 환자는 이후에도 재발의 증거가 전혀 없었다. 추적 관찰 기간($24.1{\pm}11.2$개월)중에 사망한 환자는 1명도 없었다. 결 론 : NSIP는 뚜렷한 임상적 특징과 좋은 치료 반응을 보이므로 예후가 좋지 않은 UIP와 적극적으로 감별하여 치료를 시행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Background : Nonspecific interstitial pneumonia (NSIP) has been reported recently to have shown much better response to medical treatment and better prognosis compared with idiopathic UIP. However,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diopathic NSIP discriminating it from UIP have not been clearly defined. Method : Among 120 patients with biopsy-proven diffuse interstitial lung diseases admitted to the Samsung Medical Center between July 1996 and March 2000, 18 patients with idiopathic NSIP were included in this study. Retrospective chart review and radiographic 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 1) At diagnosis, 17 patients were female and the average age was $55.2{\pm}8.4$ years (44~73 years). The average duration from development of respiratory symptom to surgical lung biopsy was $9.9{\pm}17.1$ months. Increase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lymphocytes ($23.0{\pm}13.1%$) was noted. On HRCT, ground glass and irregular linear opacity were observed, but honeycombing was absent in all patients. 2) Corticosteroids were initially given to 13 patients, but the medication was stopped in 3 patients due to severe side effects. Further medical therapy was not possible in 1 patient who experienced streroid-induced psychosis. Herpes zoster (n=3), tuberculosis (n=1), avascular necrosis of the hip (n=1), cataract (n=2) and diabetes mellitus (n=1) developed during prolonged corticosteroid administration. Of the 7 patients receiving oral cyclophosphamide therapy, hemorrhagic cystitis hindered one patient from continuing with the medication. 3) After medical treatment, 14 of 17 patients improved, and 3 patients remained stable (mean follow-up ; $24.1{\pm}11.2$ months). FVC increased by $20.2{\pm}11.2%$ of predicted value and the extent of ground glass opacity on HRCT decreased significantly ($15.7{\pm}14.7%$). 4) Of the 14 patients who had stopped medication, 5 showed recurrence of NSIP and 2 became aggravated during steroid tapering. All patients with recurrence showed deterioration within one year after completion of initial treatment. Conclusion : Since idiopathic NSIP has unique clinical profiles and shows good prognosis, diagnosis different from UIP, and aggressive medical treatment are need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