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성 기침환자에서 혈청 CD23와 CD25 측정의 임상적 의의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CD23 and CD25 in Chronic Cough Patients

  • 최재철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용범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지현석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재열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인원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병휘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허성호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Choi, Jae-Ch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
  • Park, Young-Bu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
  • Jee, Hyun-Su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
  • Kim, Jae-Y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
  • Park, In-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
  • Choi, Byoung-Whu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
  • Hue, Su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Hospital)
  • 발행 : 2000.04.30

초록

연구배경 : 만성기침은 외래에서 접하는 흔한 증상으로 후비루 증후군, 기관지 천식 그리고 위식도 역류가 흔한 원인으로 알려져있다. 그중 알레르기성 비염과 기관지 천식은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혈청 CD23치와 CD25치는 림프구 매개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만성기침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를 전향적으로 연구하여 원인을 밝히고 이중 일부의 환자에서 혈청 CD23 치와 CD25 치를 측정하여 만성기침환자에서 림프구 매개 알레르기성 염증반응이 관여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3주 이상 기침을 주소로 내원한 105명을 대상으로 전향적으로 진단적 검사를 시행하였고, 또한 만성기침환자 56명과 정상대조군 10명을 대상으로 CD23 test Kit와 Human IL-2 immunoassay를 이용하여 혈청 CD23와 CD25값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본 연구에서 만성기침의 원인 질환으로는 후비루증후군이 57%로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하였고, 기관지 천식이 10.5%를 차지하고 있었다. 만성기침으로 인한 합병증은 기침으로 인한 대화의 장애가 가장 많았으며 그 외에도 수면장애와 요실금의 빈도가 높았다. 혈청 CD23와 CD25는 대조군과 비교하였을 때 전체 만성 기침 환자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기관지 천식환자에서는 혈청 CD23가 대조군 및 원인 불명의 군에 비해 의미있게 증가되어 있었다. 결 론 : 만성기침환자중 기관지 천식 환자에서 림프구 매개의 알레르기 염증반응이 병태생리에 관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Coughing is the most common complaint for which patients seek medical service. When caughing continues over 3 weeks in non-smokers who do not take cough-provoking drugs, they are classified as patients with chronic cough. Three well known main causes of chronic caugh are postnasal drip syndrome, bronchial asthma and gastroesophaseal reflux disease. Among them, postnasal drip syndrome is reported to be the most common cause of all in chronic cough diseases, and allergic inflamm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postnasal drip syndrome. CD23 and CD25 which are low affinity receptor for IgE and IL-2 receptor alpha, respectively, are closely related to allergic inflammation and their roles were evaluated in chronic cough patients. Methods : We evaluated 105 patients with chronic cough and selected 56 patients for measurement of serum CD23 & CD25 levels. We selected 10 normal, medical students for comparison of serum CD23 & CD25 levels. Result : The postnasal drip syndrome was found to be the most common cause of chronic cough. Serum CD23 and CD25 did not increase in chronic cough patient compared to normal controls. However in bronchial asthma patient, serum CD23 level was increased relative to normal control (p<0.05). Conclusion : In bronchial asthma presented as chronic cough, lymphocyte mediated allergic inflammation may related with the pathogenesis of the diseas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