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성 천식환자에서 혈중 Interleukin-6 및 Soluble Interleukin-6 수용체의 변화

Circulating Levels of Interleukin-6 and Soluble Interleukin-6 Receptor in Acute Asthma

  • 이경훈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용철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천기태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흥범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양근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Lee, Kyoung-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ine School) ;
  • Lee, Yo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ine School) ;
  • Cheon, Ki-Ta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ine School) ;
  • Lee, Heung-Bum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ine School) ;
  • Rhee, Yang-Ke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ine School)
  • 발행 : 2000.04.30

초록

연구배경 : 기관지 천식은 기도의 과민성과 만성 염증반응을 보이는 질환이다. 저자들은 sIL-6R 및 IL-6 혈중치의 변화를 측정하여 이들의 변화가 증상 악화시 기관지 천식의 병인과 판련이 있는지에 대하여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1998년 3월 부터 1999년 3월까지 기관지 천식으로 치료중인 환자중에서 증상 악화로 응급실을 경유하여 전북대학교 병원 내과에 입원한 급성 천식 환자 78예와 무증상 천식 환자 15예 그리고 정상인 1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병력과 임상 소견, 피부반응검사, 그리고 IgE 및 호산구수를 측정하고 endogen ELISA Kit ($Quantikine^{(R)}sIL$-6R, IL-6)를 이용하여 sIL-6R, IL-6을 측정하였다. 결 과 : 혈청내 IL-6와 sIL-6R농도는 급성 천식 환자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 있는 증가를 보였으며, 무증상 천식 환자와 비교할 때 IL-6의 의미있는 증가를 보였다. 또한 급성 천식 환자에서 혈청내 IL-6와 sIL-6R간에 유의한 상관 관계가 있었다. 하지만 급성 천식환자에서의 IgE와 호산구수는 IL-6 및 sIL-6R와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결 론 : 혈청내 IL-6는 급성 천식의 병태 생리에 관여 할 수 있으며, IL-6와 sIL-6R의 혈청치는 기도 염증의 중증도를 예측하는 표식자로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he recognition of bronchial asthma as an inflammatory disease led to the search for soluble markers that would be useful in assessing airway inflammation. Interleukin-6 (IL-6) is a representative proinflammatory cytokine that has been shown to be connected with various inflammatory diseases. IL-6 acts via specific receptors that consist of the IL-6 binding glycoprotein gp80 and the signal transducer gp130. In the search for markers of airway inflammation, delete the role of soluble interleukin-6 receptor (sIL-6R) and IL-6 in acute asthma were investigated. Methods : Serum levels of sIL-6R and IL-6 were measured in 78 acute asthmatics, in 15 patients with asymptomatic asthma and in 10 healthy control subjects by a specific ELISA using a murine antihuman IL-6R, IL-6 mAb ($Quantikine^{(R)}sIL$-6R, IL-6). Results : Serum levels of IL-6 in acute asthmatics significantly exceeded those of control subjects. The levels of sIL-6R in acute asthmatics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subjects. The serum concentrations of IL-6 obtained in acute asthmatics were elevated compared with those in asymptomatic asthmatics. However, association between eosinophilic count/IgE and IL-6/sIL-6R in acute asthma could not be found. Conclusion : Our results suggest that IL-6 may be involved in the pathogenesis of acute asthma, and serum levels of IL-6 and sIL-6R may reflect the severity of airway inflamm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