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적 가치 -병변과 기관지의 관계에 따른 진단율을 포함한 연구-

Diagnostic Value of Transbronchial Lung Biopsy -Including Diagnostic Yield According to Tumor-bronchus Relationship-

  • 강태경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차승익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재용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채상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창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태훈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Kang, Tae-K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a, Seung-Ic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Y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ae, Sang-Chu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Ho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0.04.30

초록

연구배경 : 흉부 방사선사진상 국한성 혹은 미만성 음영을 보이는 환자로 비관혈적인 통상의 검사로 진단이 되지 않은 경우에 병변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의 차이, 폐암의외 경우 세포형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 병변의 위치결정에 있어 흉부전산화단층촬영사진과 경기관지폐생검의 일치율, 종양과 기관지의 관계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 등을 조사하여 시술 전에 폐질환의 진단 가능성을 예측함으로써 적절한 진단적 접근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경북대학교병원에서 경기관지폐생검을 시행 하였던 2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대상환자 278예 가운데 116예에서 경기관지폐생검으로 진단이 가능하였고 경피침생검 등의 다른 방법으로 진단된 76예를 포함하여 총 192에서 확진이 되었다. 2) 확진된 192예 가운데 악성종양에 대한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64.7%로 양성질환의 53.9%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9). 원발성 폐암으로 확진된 110예에 대한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선암과 소세포암이 나머지 세포형에 비해 진단율이 높았다(p<0.01). 양성질환의 경우 결핵의 양성질환에 비해 높았다(p<0.05). 3) 폐야를 내측 1/3, 중간 1/3, 외측 1/3 그리고 상, 중, 하 폐야의 3구역으로 나누었을 때의 진단율 그리고 폐문 혹은 기관분기부(carina)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진단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진단된 192예에서 병변의 양상에 따른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양성질환의 경우 병변의 양상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악성종양회 경우에는 미만성 및 다발성 결절 병변의 진단율이 국한성 병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병변의 크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크기가 클수록 진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6). 6) 병변의 위치판정시 흉부전산화단충촬영과 기관지 내시경 검사는 높은 일치울을 보였다(r=0.994, p<0.01). 7) 기관지-종피의 상관관계에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을 비교하면 종괴와 기관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없는 VII형을 제외하고는 기관지가 종괴와 만나는 부위에서 단절되는 I형과 기관지가 종괴내로 일부가 틀어가는 II형에 대한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폐병변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전산화단층촬영과 경기관지폐생검은 높은 일치율을 보이고 전산화단층촬영상 '기관지정후'(bronchus sign)에 해당되는 I형과 II형에서 진단율이 높았다. 기관지와 종괴의 해부학적 관계를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thin section 전산화단층촬영이 도용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경기관지폐생검을 이용해 병변으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 경피침생검 등이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 Transbronchial lung biopsy (TBLB) is a relatively simple and convenient procedure to obtain lung tissue from a patient with diffuse or localized lesion on chest radiographs, whose disease cannot be diagnosed through routine tests. The authors tried to evaluate the diagnostic value of TBLB, especially, the concordance between CT scan and TBLB with respect to the location of the lesion and diagnostic yield according to tumor-bronchus relationship. Method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plain chest films, and chest CT scans of 278 patients who underwent TBLB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6 and June 1998. Results : One hundred and sixteen (41.7 %) patients were diagnosed by TBLB. Diagnostic yield of TBLB of malignant tumors tended to be higher than that of benign diseases (64.7% versus 53.9%, p=0.09). Of primary lung cancers, TBLB was more diagnostic in adenocarcinoma and small-cell carcinoma than other cell types (p<0.01) and, of benign diseases, more diagnostic in tuberculosis than in non-tuberculous diseases (p<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iagnostic rate according to the location of the tumor. The diagnostic rate tended to increase with the size of tumor (p=0.06). The diagnootic rate of TBLB did not differ according to the pattern of lesion in benign diseases. However, in malignant diseases TBLB was more diagnostic in diffuse/multiple nodular lesions than in localized lesions(p<0.05). According to the tumor-bronchus relationship, TBLB was more diagnootic in type I/II groups than in other types. CT scan and TBLB showed a strong correlation with respect to the localization of the lesion (r=0.994, p<0.01). Conclusion : The above results show that TBLB is useful in the diagnosis of lung disease. CT scan and TBLB showed a strong correlation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 lesion. Diagnostic yield of TBLB is higher in lesions with 'bronchus sign' (type I and II). TBLB and other diagnootic methods such as transthoracic needle aspiration are expected to complement one another in the diagnosis of lung diseas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