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atellite Instabilit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

비소세포폐암에서 Microsatellite Instability

  • Jeon, Hyo-Sung (Cancer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Jeong-Ran (Department of Anatomic Path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on, Ji-Woo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Sun-Ha (Department of Biochemistr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Tae-In (Department of Anatomic Path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Chang-Ho (Cancer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In-San (Cancer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Jung, Tae-Hoon (Cancer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Jae-Yong (Cancer Research Institut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전효성 (경북대학교 암연구소) ;
  • 김정란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손지웅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선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생화학교실) ;
  • 박태인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김창호 (경북대학교 암연구소) ;
  • 김인산 (경북대학교 암연구소) ;
  • 정태훈 (경북대학교 암연구소) ;
  • 박재용 (경북대학교 암연구소)
  • Published : 2000.01.30

Abstract

Purpose: Microsatellite instability(MSI) is frequently used as an indicator of microsatellite mutator phenotype(MMP) tumors. MSI has been observed in a percentage of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However, its role in tumorigenesis of NSCLC remains unknown. The frequency and pattern of MSI in NSCLC were evaluated and clinical parameters of MSI-positive tumors with those of MSS(microsatellite stable) tumors were compared.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surgically resected NSCLCs were analyzed for 15 microsatellite markers located at chromosomes 3p and 9p. The peripheral blood lymphocytes of patients were used as the source of the normal DNA. Results: 1) Of 20 cases, 8(40%) demonstrated MSI. 2) Instability was observed more frequently in tri- and tetra-nucleotide repeats than in dinucleotide repeats. In all cases, instability appeared as a shift of individual allelic bands. 3) LDH was observed in 10(50%) of 20 tumors analyzed. 4) Of 20 cases, MSI-H tumor(showing MSI in the majority of markers) was absent. There were 5 MSI-L tumors(showing MSI in a greater than 10% of markers). 5)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MSI-L tumors and MSI-negative tumors in terms of clinicopathologic features such as pack-year history of smoking, histologic subtype, and(delete) stage of disease.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incidence of LDH in relation to the status of MSI. Conclusion: These data strongly suggest that MSI plays different roles in lung and colon cancer. MMP pathway appears to be far less important in the tumorigenesis of NSCLC, caused mainly by cigarette smoke, with little familial tendency.

연구배경: MMR 유전자의 불활성화에 의해 야기되는 유전적 불안정성은 발암기전의 한 부류로 인정되고 있다. 저자들은 비소세포폐암의 발암과정에서의 MSI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비소세포폐암에서 MSI의 빈도 및 MSI 유무에 따른 임상상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근치적 절제술을 받은 비소세포폐암 2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동결된 폐암조직과 환자의 림프구에서 DNA를 추출한 후 3p와 9p의 15개의 marker들을 대상으로 PCR을 시행하고 7% polyacrylamide gel에서 전기영동한 후 silver 염색을 시행하였다. 암조직과 림프구 DNA의 PCR product의 band를 비교하여 MSI와 LOH를 판정하였다. 결 과: 1) 대상환자들은 남자 19예, 여자 1예였으며 모두 흡연자였고 평균 흡연력은 47 갑년이었다. 폐암의 조직형은 편평상피암 15예, 선암 4예, 대세포암 1예였고, 술후병리학적병기는 I기 6예, II기 5예, IIIA기 7예, IIIB 기 2예였다. 2) 20예 가운데 8예(40%)에서 MSI가 관찰되었으며 3예는 한 개의 marker에서, 5예는 2개 이상의 marker에서 MSI가 관찰되었다. 3) LOH는 10예(50%) 에서 있었으며, LOH 유무에 따른 병기 및 흡연력의 차이가 없었다. 4) 분석한 marker의 10% 이상에서 MSI가 관찰된 MSI-L 종양은 5 예였으며, 대부분의 marker에서 MSI 양성인 MSI-H 종양은 없었다. MSS 종양과 MSI-L 종양은 흡연력, 병기, 폐암 조직형 및 LOH 빈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비소세포폐암에서 MSI는 비교적 흔히 관찰되지만 MMR 유전자의 불활성화에 의한 MMP pathway는 비소세포폐암의 주요 발생기전은 아닐 것으로 생각된다. 향 후 비소세포폐암의 발암과정에 있어서 MMP pathway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예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며, MSI 발생기전에 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