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의학ㆍ지역보건 (Journal of agricultural medicine and community health)
- 제25권2호
- /
- Pages.397-411
- /
- 2000
- /
- 1738-9577(pISSN)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한 건강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Effect of Health Promotion Programs in Schoolchildren
- 유중선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복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석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최광해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소아과학교실) ;
- 김미경 (경주시 보건소)
- Yoo, Joong-Su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ang, Pock-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Lee, Kyeong-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Seok-Beom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Choi, Kwang-Hae (Department of Pediatrics,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Mee-Kyung (Kyungju City Health Center)
- 발행 : 2000.12.30
초록
초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1년간의 보건교육 interevntion을 제공하고 이에 의한 보건지식, 태도 및 건강증진행위의 변화의 정도를 분석하고,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과 태도, 실천 행위점수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고, 건강지식과 건강증진행위의 변화에 따른 건강수준의 변화정도을 분석하고자 시행하였다. 1999년 4월 경주시 도시지역 초등학교에 재학중인 3, 4학년 학생과 학부모 각 354명을 대상으로 사전조사를 시행한 결과 학생과 학부모 각각 301명이 응답하여 회수율은 85%였다. 301쌍 중에서 1년 후 2000년 4월 추적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전학한 학생, 조사 당일 조퇴자, 복부지방 측정 누락자와 추적설문조사에서 학생과 어머니의 설문이 불완전한 대상자를 제외한 231쌍을 최종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BMI를 기준으로 비만군과 정상체중군으로 구분하고 이에 따른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실천행위점수와 복부비만율을 intervention 전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 지식 점수의 변화는 정상체중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태도점수는 비만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정상체중군에서는 유의하게 감소하였고(p<0.01), 실천행위 점수는 양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복부비만율은 비만군에서는 변동이 없었으나 정상체중군에서는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1). Intervention 전후의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점수 변화는 사전조사 점수를 기준으로 3분위 한 후 1년 후 점수의 변화를 보면 l분위의 경우 intervention 전후의 지식점수변화가 2.4점 증가하였고, 2분위는 0.6점 증가하였고, 3분위는 0.6점 감소하여, 사전지식 점수가 낮을수록 건강증진프로그램에 의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식이에 대한 실천행위점수는 세 군 모두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점수의 변화량은 1분위가 7.0점, 2분위가 4.4점, 3분위가 1.8점으로 세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어머니의 교육수준이 대졸 이상군에 속하논 학생의 BMI증가가 고졸 이하군에 속하는 학생의 BMI 증가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고, 어머니의 연령이 30대인 학생군에서 비만 식이에 대한 실천행위점수 변화는 높았다. 어머니의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점수와 태도점수를 3분위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태도점수 수준에 따른 학생의 지식점수변화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점수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학생변수로는 비만에 대한 심각성 인지도와 비만 식이에 대한 사전지식점수가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변수였고, 어머니 변수 중에 자녀식습관지도 정도와 교육수준이 유의한 변수였다. 비만 식이에 대한 태도변화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학생변수로는 BMI 비만 식이에 대한 사전지식 정수와 비만 식이에 대한 사전 태도점수가 유의한 변수였으나, 어머니 변수는 태도점수 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식이에 대한 실천행위점수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분석을 위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학생변수로는 BMI와 비만 식이에 대한 사전 태도점수, 비만 식이에 대한 태도점수 변화량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비만 식이에 대한 지식수준이 낮고, 건강 실천행위정도가 낮은 학생에서 intervention에 의한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1년간의 보건교육과 운동 등의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통한 intervention에 의해서는 BMI나 복부비만율 등의 건강수준의 변화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장기적인 intervention이나 교육-대조군 연구활 통한 건강증진효과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아동의 비만 식이 태도와 행위 변화에 어머니의 연령과 교육수준 등의 영향을 미치고, 어머니의 비만 식이에 대한 태도점수도 영향을 미치므로 어머니도 학생의 비만 식이의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의 대상에 포함시켜야 한다.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degree of changes in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health, arid health promoting activities after providing health education intervention for a year to elementary school children, to examine the factors effecting knowledge, attitude and health promoting practices for obesity and diet, and to analyze whether changes are present in health level according to changes in knowledge on health and health promoting activities. After conducting a pre-survey rio 354 subjects of 3rd and 4th grade students and their mothers in the city area of Kyungju, in April, 1999, 301. responses with the responding rate of 85% were obtained. Final analysis was done with 231 pairs of a student and his/her mother who could be followed up after a year among 301 pairs of the respondents, excluding those students who transferred, those who were excused from school early, those who did not take abdominal fat measurements, and those students and mothers respondents whose survey was incomplete. Based on the changes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the scores on knowledge about obesity and die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normal weight group, and the scores on the attitude toward obesity and diet increased significantly in obesity group but decreased significantly in normal weight group(p<0.01). The scores of practicing health promoting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both groups, and although the waist-hip ratio (WHR) did not change in obesity group, the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in normal weight group(p<0.01). As for changes on the knowledge of obesity and diet before and after the intervention while dividing the scores into 3 levels based on the scores of the pre-survey and compared to changes in the scores one year after, in the case of the changes in the scores in the 1st third, the score on the knowledge about obesity and diet changed from 1.3 in the pre survey to 3.7 after the intervention, showing significant increase(p<0.01) The scores of practicing health promoting activities for obesity and diet were significantly increase in all three levels(p<0.01), and the degree of changes in the scores was 7.0 points in the 1st third, 4.4 points for the and third and 1.8 points for the 3rd third, showing a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 three levels(p<0.01). It was shown that the increase in BMI in those students whose mothers have the education level higher than univers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increase in BMI in those students whose mothers have the education level under high school, and those students whose mothers are in their 30's showed higher changes in practicing health promoting activities for obesity and diet. When the scores of mothers'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 obesity and diet were compared by dividing the scores into tertile, the score of students' knowledge chang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scores of mothers' attitude toward obesity and diet.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changes in the scores of knowledge about obesity and diet, the student variables of the degree of awareness on the seriousness of obesity, and the scores of previous knowledge on diet and obesity were selected the significant variables, and among the mother variables, the degree of guiding the child on diet and the education level were the significant variabl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analyze the factors effecting changes in the attitude toward obesity and diet, the student variables of the BMI, scores of previous knowledge on obesity and diet, and scores on the previous attitude toward obesity and diet were shown to be significant.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effecting changes in health promoting activities for obesity and diet, the student variables of the BMI, scores on the previous attitude toward obesity and diet, and changes in the scores of obesity and diet were selected the significant variab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