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gical Clues of Distal Anterior Cerebral Artery(DACA) Aneurysms

원위부 전대뇌 동맥류 수술의 실마리

  • Kim, Sung Bum (Department of Neurosurgery, Hanyang University Kuri Hospital) ;
  • Yi, Hyeong Joong (Department of Neurosurgery, Hanyang University Kuri Hospital) ;
  • Kim, Jae Min (Department of Neurosurgery, Hanyang University Kuri Hospital) ;
  • Bak, Koang Hum (Department of Neurosurgery, Hanyang University Kuri Hospital) ;
  • Kim, Choong Hyun (Department of Neurosurgery, Hanyang University Kuri Hospital) ;
  • Oh, Suck Jun (Department of Neurosurgery, Hanyang University Kuri Hospital)
  • 김승범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구리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이형중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구리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김재민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구리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백광흠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구리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김충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구리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오석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구리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Received : 1999.12.03
  • Accepted : 2000.09.20
  • Published : 2000.12.28

Abstract

Objects : Surgical management of the distal anterior cerebral artery(DACA) aneurysms presents several unique problems to surgeons, such as difficulty in early identification of parent arteries, high incidence of rebleeding and premature rupture, and requirement of unfamiliar approach other than conventional frontotemporal craniotomy. Therefore, preoperative anatomical knowledge of anterior interhemispheric fissure and entry point of dissection is prerequisite. Authors utilized a frontobasal approach for DACA aneurysms by using consistent external landmark for guidance to the deep structure. Materials and Methods : From Nov. 1995 to Jun. 1999, a surgical clipping of DACA aneurysms was carried out in 9 patients among a total 131 patients with intracranial aneurysms. In each case, the clinical and aneurysmal features were carefully reviewed through the angiograms, medical records, and intraoperative findings. Results : The incidence of DACA aneurysms was 6.9% from our series. All cases were arisen from juxtacallosal por-tion ; 6 cases from pericallosal-callosomarginal(PC-CM) junction and 3 from pericallosal-frontopolar(PC-FP) junction. Associated vascular anomalies were noted in 3 cases and multiple aneurysms in 3 cases, respectively. The preoperative clinical grades were generally poor. An early surgery was performed in 7 cases and frontobasal interhemispheric approaches in 7 cases. Postoperatively, two patients died of complications ; one delayed ischemic vasospasm and one aspiration pneumonia but remaining patients recovered well. Conclusion : The frontobasal interhemispheric approach was useful for DACA aneurysms in early surgery. Division of superior sagittal sinus(SSS) enabled a minimal retraction of brain on both sides, and prevention of intraoperative rupture was possible. Authors suggest the frontopolar(first frontal bridging) vein as a constant external landmark for approaching the genu of the corpus callosum and juxtacallosal DACA aneurysms.

목 적 : 원위부 전대뇌 동맥에 발생하는 동맥류는 모동맥의 확보가 힘들고 재출혈 및 수술중 조기출혈의 빈도가 높으며, 익숙치 않은 수술적 접근법이 필요하다든지 하는 몇 가지 독특한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전대뇌 반구간열 주변의 해부학적 구조물과 박리 시작점에 대한 수술전 지식을 요한다. 저자들은 박리 시작점에 대한 일관된 외부표식자를 이용하여 전두 기저부 대뇌반구간열 접근법 수술을 시행하였고 이를 심부 구조물들에 대한 접근 지표로 삼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11월부터 1999년 6월까지 동맥류경을 결찰한 총 131명의 뇌동맥류파열 환자 중에서 원위부 전대뇌 동맥류 9명에 대하여 혈관조영술, 의무기록지, 수술소견을 통해 임상적, 수술소견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원위부 전대뇌동맥류의 빈도는 6.3%였고, 6례에서 뇌량 연변 동맥이 기시하는 뇌량 주위 동맥에서 발생하였고, 3례에서는 전두극동맥이 기시하는 뇌량 주위 동맥에서 발생하였다. 동반된 다른 혈관기형 및 다른 동맥류는 각각 3예에서 발견되었다. 술전 환자 상태는 일반적으로 불량했다. 조기수술은 7예에서 실시되었으며, 전두 기저부 대뇌반구간열 접근법으로 동맥류 결찰을 시행한 경우도 7예였다. 술후 심한 혈관연축과 흡인성 폐렴으로 인한 사망이 각각 1례씩이었으며 그 이외에는 신경학적 소견은 정상이었다. 결 론 : 원위부 전대뇌 동맥류의 조기수술시에 전두 기저부 대뇌반구간열 접근법이 유용하였다. 이 방법으로 뇌견인을 최소화할 수 있었으며 동맥류의 조기파열을 방지할 수 있었다. 저자들은 대뇌반구 간열의 박리 시작점으로 첫번째 교정맥(전두극 정맥)이 상시상 정맥동으로 유출되는 지점을 기준으로 하여 뇌량 및 뇌량 주변부 원위부 전대뇌동맥류에 접근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