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차신경통에 대한 감마나이프방사선 수술

Outcome of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Trigeminal Neuralgia

  • 전상룡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이동준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김정훈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김창진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권양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이정교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 권병덕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외과학교실)
  • Jeon, Sang Ryong (Department of Neurological Surger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Lee, Dong Joon (Department of Neurological Surgery,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Inje) ;
  • Kim, Jeong Hoon (Department of Neurological Surger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im, Chang Jin (Department of Neurological Surger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won, Yang (Department of Neurological Surger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Lee, Jung Kyo (Department of Neurological Surger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 Kwun, Byung Duk (Department of Neurological Surgery, Asan Medical Center, College of Medicine, University of Ulsan)
  • 투고 : 2000.03.29
  • 심사 : 2000.08.16
  • 발행 : 2000.09.28

초록

목 적 : 본 연구는 삼차신경통에 대한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을 한 경우에 있어서 그 장기추적 결과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방 법 : 총 증례수는 11례였고 신경근 입구부(nerve root entry zone)에 수술의 목표점으로 최대량 67~85Gy를 조사하였다. 4mm collimator를 사용하였고 목표점은 뇌교의 표면으로부터 1~6mm 원위부 신경근에 위치하였다. 초기 3례에 있어서는 신경근과 뇌교가 만나는 접합부를 방사선수술의 목표점으로 삼았다. 이들 증례에서는 뇌교에 56 혹은 60Gy가 조사되었다. 후반 8례에서는 목표점을 다소 신경근의 원위부로 이동하여 뇌교의 가장자리가 최대량의 20% 이하로 조사되도록 계획하였다. 결 과 : 평균추적 기간은 25개월(13~50개월)이었다. 통증감소의 시작시점은 수술후 일주일내에서부터 길게는 5개월째였다. 통증의 치료결과는 삼례에서 완전소실, 3례에서 현격히 감소(80~90%)하였고 4례에서는 의미있게 감소하였다. 단 한례에서 최종추적결과 수술전과 같은 정도의 통증재발이 있었다. 전례에서 감마나이프 방사선수술과 관련된 의미있는 정도의 부작용은 관찰되지않았다. 결 론 : 장기추적 결과 감마나이프 방사선 수술이 삼차신경통의 치료에 효과적임이 관찰되었고 향후 이 질환에 대한 일차적 치료법으로 정하기 위하여 좀더 많은 치료경험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Objective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analysis gamma knife radiosurgery(GKR) effect for trigeminal neuralgia after long term follow-up. Methods : There were 11 trigeminal neuralgia patients. The authors irradiated 67-85 Gy maximally to the nerve root entry zone(NREZ) using single 4mm collimator, just 1-6mm lateral side from the junction of the trigeminal nerve and pons. For the first 3 cases, we targeted the junction between the nerve and the pons. In theses cases, the pons was irradiated 56 or 60 gray in the surface. In the later 8 cases, the isocenter is positioned more distal side so that the brain stem surface would receive less than the 20% isodose. Results : The average follow-up duration was 25 months(13-50 months). Pain relief was noticed within a week to 5 months. In 3 patients, pain was relieved completely and in other 3 patients, mark improvement was achieved(80-90%). Remaining 4 pati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30-50%). There was recurrence in only one case and she complained with similar intensity of pain at the last follow-up. There was no significant complication related to GKR. Conclusion : GKR is considered effective for trigeminal neuralgia based on the long term follow-up evaluation, but more clinical experience is need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GKR for trigeminal neuralgia as a primary treatment modal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