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구강 치상돌기제거술의 수술해부학

Microsurgical Anatomy in Transoral Odontoidectomy

  • 박관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이상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조태구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남도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이정일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김종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홍승철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신형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어환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 김종현 (성균관대학교 의과대학 삼성서울병원 신경외과학교실)
  • Park, Kwa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Sang Koo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Cho, Tae Goo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Nam, Do-Hyu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Lee, Jung-Il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ong-Soo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Hong, Seung-Chyul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Shin, Hyung-Ji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Eoh, Wha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 Kim, Jong-Hyun (Department of Neurosurgery, Samsung Medical Center,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 투고 : 1999.09.02
  • 심사 : 1999.10.19
  • 발행 : 2000.03.28

초록

목 적 : 경구강 치상돌기제거술은 두개척추연결부위에 대한 접근법 중 중요한 수술법이나 수술상처의 문제나 수술후 뇌막염 등의 합병증의 문제점과 해부학적으로 익숙하지 않다는 점 때문에 광범위하게 사용되지 않고 있다. 이 부위의 해부학적 구조의 이해를 위해 사체해부를 통한 미세해부학을 기술하고자 한다. 방 법 : 10구의 고정 혹은 비고정 사체두부를 이용하여 경구강 치상돌기제거술을 단계적으로 시행하였다. 각 두부는 두부 고정기를 이용하여 고정하였으며, 고속드릴과 수술현미경을 이용하여 미세수술을 시행하며 각 단계별로 사진을 촬영하였다. 결 과 : 수술단계는 6단계로 나눌 수 있으며, 연구개, 후측 인두부, 근육조직, 골조직, 치상돌기 및 인대, 십자인대 및 경막으로 나눌 수 있다. 결 론 : 이 부위의 해부학적인 지식을 충분히 숙지하면 경구강 치상돌기제거술은 합병증을 피하면서 비교적 용이하게 두개척추연결부위의 다양한 병변에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Objective :The transoral approach allows direct view of the ventral craniovertebral junction and provides useful management of the various lesions of this area. We present a step by step guide to the performance of the transoral excision of the odontoid process in the cadaveric model. Methods : Ten cadaver heads were used in fixed or unfixed state. We describe the relevant surgical anatomy in the cadaveric dissection and surgical technique of transoral transpharyngeal odontoidectomy. Results : The surgical procedure of transoral odontoidectomy was categorized by six steps;soft palate, posterior pharyngeal wall, muscular structures, osseous structures, odontoid process and ligaments, cruciate ligament and dura. Conclusion : With anatomical knowledge of these regions neurosurgeons can deal with wide variety of lesions in the ventral craniovertebral junc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