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예과학기술지 (Horticultural Science & Technology)
- 제18권3호
- /
- Pages.348-352
- /
- 2000
- /
- 1226-8763(pISSN)
- /
- 2465-8588(eISSN)
몇가지 배추 품종의 이화학적 품질 특성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of Several Chinese Cabbage (Brassica pekinensis RuPR) Cultivars
- 김재영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 이은지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 박승국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 최근원 (경희대학교 생명자원과학연구원) ;
- 백남권 (중앙종묘(주))
- Kim, Jae-Young (Institute of Life Sciences & Resources, Kyung Hee University) ;
- Lee, Eun-Ji (Institute of Life Sciences & Resources, Kyung Hee University) ;
- Park, Seung-Kook (Institute of Life Sciences & Resources, Kyung Hee University) ;
- Choi, Geun-Won (Institute of Life Sciences & Resources, Kyung Hee University) ;
- Baek, Nam-Kwon (Choong Ang Seed Co., Ltd.)
- 발행 : 2000.06.30
초록
본 연구는 4품종의 배추에 대한 품종별(品種別) 부위별(部位別) 이화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는데, 조섬유 함량은 품종간 유의차가 없었다. 엽록소 함량에 있어서도 하부(下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상부(上部)에서는 '하우스 금가락'과 '노랑봄'이 '고랭지 여름'보다 높은 엽록소 함량을 나타내었다. Firmness에 있어서도 '하우스 금가락'과 '노랑봄'이 '고랭지 여름'보다 높게 나타났으나, hardness에서는 품종간 유의적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당함량에 있어서는 상부(上部)보다는 하부(下部)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그 중 '노랑봄'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단맛에 있어서 관능적으로는 품종간 차이를 인지할 수 없었다. 부위별 당조성을 살펴보면, 상부(上部)에서는 glucose 함량이, 하부(下部)에서 반대로 glucose보다 fructose 함량이 더 높게 나타났다. 관능적인 특성 중 고소한 맛과 냄새는 상부(上部)에서는 품종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하부(下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어 '하우스 금가락'과 '고랭지 여름'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노란색에 있어서는 상(上) 하부(下部) 모두에서 '하우스 금가락'과 '노랑봄'이 높게 나타났다. 경도의 경우는 품종간에 유의 차가 없었다. 관능검사 결과를 통해 배추의 관능평가시 고소한 맛과 냄새에 대하여는 하부(下部)를 제시하는 것이 품종간에 차이를 보다 확실하게 알 수 있을 것으로 사려되었다.
Four different Chinese cabbage cultivars were compared for their physicochemical quality characteristics including crude fiber, chlorophyll, firmness, hardness, sugar, and flavor at different parts of the cabbage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crude fiber content was observed among cultivars. Chlorophyll content in midrib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ultivars, however Chlorophyll content in leaf of 'Golden House' and 'Golden Spring' were greater than that of 'Alpine Summer' Firmness was the highest in 'Golden House' and 'Golden Spring' but hardnes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cultivars. Sugar content was higher in midrib than in leaf. 'Golden Spring' a showed the highest sugar content in midrib. Glucose content was higher than the fructose content in leaf, but was opposite in midrib.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Golden House' and 'Golden Spring' were the best in yellowness, and 'Golden House' and 'Alpine Summer' were the best for their taste and aroma in midrib,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exture was observed among cultiva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