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rval Morphology of Gnathagnus elongatus (Uranoscopidae)

푸렁통구멍 Gnathagnus elongatus 자치어의 형태 발달

  • Kim, Sung (Biological Oceanography Laboratory,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 Yoo, Jae-Myung (Biological Oceanography Laboratory, Korea Ocean Research & Development Institute)
  • 김성 (한국해양연구소 생물연구단) ;
  • 유재명 (한국해양연구소 생물연구단)
  • Received : 2000.03.02
  • Accepted : 2000.04.30
  • Published : 2000.06.30

Abstract

A total of 46 Gnathagnus elongatus larvae, 2.7~8.7 mm BL (Body length), were collected by bongo net and trawl-shaped fish larvae net in the coastal area of Cheju Island during 1997~1999. This species was found in the coastal area of Cheju Island and the Korea Strait. This paper describes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se specimens throughout their development. 1) The soft ray of fin appeared at about 5 mm BL and attained to a fixed number at about 8.7 mm BL. 2) Pigments pattern changed suddenly about 3 mm BL. 3) A series of pigments in the upper and the lower part of the urostyle were found less than 4.3 mm BL. 4) The pigments of caudal peduncle were found more than 6 mm BL.

푸렁통구멍 자치어 시료는 1997~1999년 제주도 연안에서 봉고네트와 트롤형자치어네트로 총 45개체 채집되었으며, 체장 범위는 2.7~8.7 mm였다. 이 종은 제주도 연안과 대한해협에 분포하였다. 성장에 따른 푸렁통구멍 자치어의 체형변화는 다음과 같다. 1) 지느러미의 여린줄기는 체장이 약 5 mm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며 체장이 약 8.7 mm에서 정수에 달하였다. 2) 흑색 소포의 변화는 체장 3 mm 전 후에서 급격하게 일어났다. 3) 미부봉상골 위아래에 일렬로 된 혹색소포는 체장 4.3 mm 이하의 크기에서 나타났다. 4) 꼬리자루에 흑색소포는 체장 6 mm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