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 Experimental Study on the Restoration Creation of Tidal Flats

간석지 생태계 복원에 관한 실험적 연구

  • Lee, Jeoung-gyu (Environmental Department, kunil Engineering Ltd.) ;
  • Lee, Nam-hoo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Published : 2000.03.30

Abstract

Seven constructed and three natural tidal flats were compared to evaluate state-of- the-art of creation and restoration technology for tidal flats. parameters studied were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soils and rate of respiration. The natural tidal flats had higher contents of silts, nitrogen and organic matter compared to the constructed ones. The natural ones had reductive Bone below 2 cm whereas the constructed ones had oxidative zone from the surface to below 20 cm. The bacterial population in the soil of the constructed tidal flats was one to two magnitudes lower than that in the natural ones. Biomass of macrobenthos and microbial respiration rate, however, were not different significantly between the natural and the constructed tidal flats. The purification capacity by diatom+bacterial+meiobenthos and macrobenthos in the constructed tidal flats was higher than that in the natural ones due to deeper permeable layer for purification in the constructed tidal flats. There was an exceptional constructed tidal flat with similar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characteristics to natural ones. Shearing stress to the surface of the tidal flat by the flow of seawater was as low as that of natural ones. These hydraulic conditions seemed to be a controlling factor on structures and functions of tidal flats. The control of hydraulic condition seemed to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create natural-like tidal flats.

3개소의 자연갯벌과7개소의 인공갯벌을 대상으로 토양중의 물리화학적, 생물학적 특성 및 미생물호흡량등과 같은 갯벌의 구조와 기능을 비교 평가하므로서 갯벌의 복원 및 창출기술개발을 위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하였다. 자연갯벌의 실트함유량, 질소 및 탄소함유량은 인공갯벌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산화환원전위에 있어서도 자연갯벌의 경우는 토양 깊이 2cm이하부터 환원층이 발달되었지만, 인공갯벌의 경우는 토양 표면에서 20cm이상까지 산화층을 나타내었다. 자연갯벌의 미생물현존량은 인공갯벌들과 비교하여 10~100배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토양중의 미생물현존량과 실트함유량이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나, 저서생물과 미생물호흡량은 자연갯벌과 인공갯벌 간에 현저한 차이는 관찰할 수 없었다. 갯벌의 정화기능을 정량적으로 산정한 결과, 인공갯벌이 자연갯벌보다 해수의 정화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자연갯벌보다 인공갯벌이 정화에 관여하는 토양의 투수층이 깊기 때문이라 판단된다. 그러나 인공갯벌 중에도 자연갯벌과 유사한 해수유동의 분포를 가진 지역에서는 자연갯벌과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해수의 정화기능을 강화하기 위한 인공갯벌의 창출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자연갯벌과 유사한 구조와 기능을 가진 인공갯벌을 복원 또는 창출하기 위해서는 토양 중의 실트과 같은 미소입자의 함유량을 높게 유지하여 미생물현존량을 높게 유지시키고, 실트함유량을 유지하기 위하여 해수의 유동을 약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이나 입지조건을 선택하여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