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 of solid Waste Landfill Method on Decomposition of pollutants in Semi-aerobic Landfill Structure

준호기성 매립구조에 있어서 폐기물 매립방법이 오염물질의 분해에 미치는 영향

  • Lee, Nam-Hoon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Anyang University) ;
  • Lee, Chae-Young (Institute of Technology,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Group, Samsung Corporation)
  • 이남훈 (안양대학교 환경공학과) ;
  • 이채영 (삼성물산 건설부문 기술연구소)
  • Received : 2000.11.06
  • Accepted : 2000.11.29
  • Published : 2000.12.30

Abstract

Large-scale simulated lysimeter experiments were conducted for 4 years as a fundamental study to develop enhanced landfill stabilization method, which accelerate stabilization time and make efficient practical use of self-purification capacity of pollutants in semi-aerobic solid waste landfill. The amount of TOC(total organic carbon) decomposition increased as the landfill depth increased. In case of T-N(total nitrogen), the self-purification capacity increased linearly with the landfill thickness until it reached a maximum level of 6 m. Beyond this level, the self-purification capacity was not increased. The results from lysimeter experiments indicate that 6m of landfill thickness is optimum for self-purification capacity of pollutants considering the mass balance of TOC and T-N.

본 연구는 소각재 주체의 준호기성 매립지를 대상으로 폐기물 매립지가 보유하고 있는 오염물질에 대한 정화능력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조기안정화 매립공법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적 연구로, 대형 모의 매립실험을 약 4년간 실시하여 폐기물 매립고의 차이에 따른 오염물질의 정화능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TOC 성분은 폐기물 매립고가 증가할 수록 매립지내에서의 분해량이 많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T-N의 경우에는 매립고 6m까지는 매립고가 증가할수록 폐기물의 분해능이 향상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6m 이상부터는 매립고의 증가와는 무관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모의 매립조 내부에서의 TOC와 T-N 성분의 물질수지를 평가할 때 폐기물 매립고가 6m정도 일때 오염물질에 대한 정화능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