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생식물 교육을 통한 학교 환경교육 개선에 관한 기초연구 - 서울시 마포구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

Base Study for Improvement of School Environmental Education with the Education Indigenous Plants - In the case of Mapo-Gu Elementary School in Seoul -

  • 투고 : 2000.03.02
  • 발행 : 2000.03.31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교 환경교육을 통해서 우리 자연자원의 소중함을 인식시키고, 실제 학교환경을 이용한 자생식물 교육을 위하여 제도적 교과서에서의 식물이용현황 및 학교현장의 녹지공간 현황, 자생식물 식재여부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향후 7차 교과 개정시에는 교과서에 자생식물에 대한 개념 및 훨씬 더 많은 자생식물이 그림이나 사전과 함께 실리며, 학생들이 접하기 힘든 어려운 식물들을 초기단계부터 교육하기 보다는 일상생활에서 늘 접할 수 있는 쉬운 가존의 소재들을 바탕으로 중기단계에서는 직접 실생활에서 응용되는 실용적 소재로 학생들에게 흥미를 유발하여 말기에는 희귀종, 어려운 식물 및 우리 자생식물을 '먹을 수 있는 식물', '나비와 벌이 모여드는 식물', '약으로 쓰이는 식물', '습지를 좋아하는 식물'들로 테마를 설정해 제시하는 단계별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한다. 둘째, 현재의 학습원은 작물, 초화류 위주의 식물식재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식물교육, 특히 자생식물 교육의 효과를 가지지 못하고 있다. 더욱이 교사와 학생들에 의해 식물이 식재되고, 관리되어지는 실습의 장으로써가 아닌 일부 교사, 또는 담당관리에 의해 조경수목 식재지의 일부로 관리되어지는 경우가 많음을 현황조사 결과 알 수 있었다. 학습원과 더불어 학교 녹지공간 전체의 배치, 식생의 층위구성, 자생식물의 식재수종 등에 변화가 요구된다. 학교환경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재 조성되어 있는 학습원(재배원 교재원) 및 조경공간 등의 적극적인 활용과 비조성 학교에서의 학습원 조성을 위해 모델제시와 더불어 "어린이 자생식물 연구회", "우리꽃 가꾸기 모임", "1인(人) 한 나무 가꾸기" 등의 다양한 모임을 토대로 우리꽃 이름짓기 대회, 관찰일기 쓰기, 우리학교 자연이야기 신문 만들기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을 활성화하여 학교 내에서의 자생식물 실습교육을 유도한다. 향후 위 자료를 기초로 교사와 학생에 대한 식물교육 및 자생식물에 대한 향후 의식조사를 실시하여 현재 학교에서의 오염중심 환경교육에서 벗어나 자연과 접하며 실제 환경의 소중함을 체험할 수 있는 정확한 정보 및 다양한 자료를 통하여 생명의 소중함을 느끼게 하고, 환경 문제의 근본적인 해결을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Due to the urbanization, concentrated population, and limited land exploitation in the modern society,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at we live in is getting polluted more and more, and it has become hard even to let urban children experience the natur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help people recognize the importance of our natural resources through the environmental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and to use school's practical open-space for the Indigenous Plants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status of a plant utilization in our institutional education : There were 362 species totally of 124 species of Trees, 156 species of Herbs, 63 species of Crops, and 19 species of Hydrophytes which appear in the elementary school text book. Of all, the most frequently appearing species of tree were the Malus pumila var. dulcissima, Pinus densijlora, Citrus unshiu, Diospyros kaki. Second, the effect of plant education using the land around schools : The result of research on the open-space of the 19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Mapo-gu showed that most of the species planted are the Juniperus chinensisrose, Hibiscus syriacus. Pelargonium inquinans in the order of size, and the plants appearing in text book were grown in the botanical garden organized in 7 schools. Especially most of the Indigenous Plants were being planted in botanical garden, and Pinus densijlora, Abeliophyllum distichum, Polygonatum var. plurijlorum, Liriope platyphylla and so on. Last, the result of this research on recognition of Environment, Planting education and Indigenous plants : It showed that educational necessity of students and teachers about environment and Indigenous Plants was more than 80%. The management of botanical garden was conducted by some teachers and manag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we needed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 the efficient application of plant education for effectiveness of using school environment and monitoring continually and construction information sources for the better environment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