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 Structure of the Macrobenthos in Chinhae Bay, Korea

진해만 주변 해역의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

  • PAIK Sang Gyu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Taegu University) ;
  • YUN Sung Gyu (Department of Biology, Graduate School, Taegu University)
  • 백상규 (대구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 윤성규 (대구대학교 대학원 생물학과)
  • Published : 2000.11.01

Abstract

Community structure of macrobenthos was studied in Chinhae Bay, a southern coastal area of Korea. Sampling was conducted bimonthly using a Smith-McIntyre grab ($0.05 m^2$) at eight stations from January to November, 1998. A total of 237 species were sampled. It was comprised of annelids ($80 spp. 33.8{\%}$), arthropods (80 spp.), molluscs (47 spp.), echinoderms (16 spp,) and others, Mean density of individual was $1,939 ind./m^2$ and mean biomass was $171.6 gwwt/m^2$. Annelids were a density-dominant faunal group with a mean density of $1,533 ind./m^2$ which occupied $79.0{\%}$ of the total individual of benthic animals. Molluscs were represented as a biomass-dominant group with a mean biomass of $95.9 gwwt/m^2$ ($55.9{\%}$ of total biomass). The major density-dominant species were a bivalve Theora fratilis ($110 ind./m^2$) and five species of polychaetes, Lumbrineris longifolia ($417 ind./m^2$), Chaetozone setosa ($145 ind./m^2$), Sigambra tentaculata ($128 ind./m^2$), Cirratulus cirratus ($128 ind./m^2$), and Paraprionospio pinnata ($103 ind./m^2$). Cluster analysis showed that the study area could be divided into two station groups and two stations. According to the feeding guild of polychaetes, four feeding guilds were found, and the major ones were surface deposit-feeders, burrowing deposit-feeders, surface suspension-feeders, carnivore.

남해안에 위치한 진해만의 8개 정점에서 1998년 1월부터 11월까지 격월로 대형저서동물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조사 결과 총237종, 평균 1,939개체/$m^2$, 평균 171.6gwwt/$m^2$의 대형저서동물이 출현하였다. 이 중 환형동물이 80종으로 $33.8{\%}$를 차지하였다. 이들의 밀도는 1,536개체/$m^2$로 전체 밀도의 $79.2{\%}$를 차지하였다. 또한 현존량에서는 연체동물이 $95.9 gwwt/m^2$로 전체의 $55.9{\%}$를 차지하고 있었다. 주요 우점종으로는 개체수에서의 경우 연체동물의 아기반투명조개 (T. fragilis)와 갯지렁이류의 긴자락송곳갯지렁이 (L. longifolia), 솜털바퀴실타래갯지렁이 (C. setosa), S. tentaculata, 가는실타래갯지렁이 (C. cirratus), P. pinnata였으며 이중 긴자락송곳갯지렁이 (L. longifolia)는 평균 417개체/$m^2$로 현저히 높은 출현을 보였다. 현존량에서는 잔주름살조개 (p. euglypta), 녹껍질대양조개 (M. contabulata), 피조개 (S. broughtonii)가 우점적이었다. 집괴분석 결과 이 지역은 가장 내만에 위치한 정점과 중앙부의 한 정점을 기준으로 2개의 정점군과 2개의 정점으로 구분되었다. 입도분석 자료를 이용한 갯지렁이 섭식조합을 위해 해역에서 출현한 갯지렁이류를 SD형, BB형, 55형, CV형의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