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형 우리 그물의 유수저항

Flow Resistance of Model Cage Net

  • 김태호 (국립수산진흥원 수산공학과) ;
  • 김대안 (여수대학교 수산공학과) ;
  • 류청로 (부경대학교 해양공학과) ;
  • 김재오 (국립수산진흥원 수산공학과) ;
  • 정의철 (국립수산진흥원 수산공학과)
  • KIM Tae-Ho (Fisheries Engineering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KIM Dae-An (Department of Fisheries Science and Technology, Yeosu National University) ;
  • RYU Cheong-Ro (Department of Ocean Engineering, Pukyong National University) ;
  • KIM Jae-O (Fisheries Engineering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 JEONG Eui-Cheol (Fisheries Engineering Division,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 발행 : 2000.11.01

초록

우리형 그물에 작용하는 유수저항을 그 도면으로부터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하여 그물실을 원형 실린더로 단순화하여 실린더를 통과한 흐름의 속도 감소에 대한 수치 해석 결과와 상자 구조의 모형 우리 그물에 대한 수리 모형실험을 행하여 저항계수 및 그물감을 통과기 전과 후의 속도 감소비에 대한 관계를 검토하였으며, 속도 감소비를 고려하여 흐름에 의한 그물의 변형 유무에 따른 모형 우리 그물에 작용하는 유수저항을 측정하였다.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그물감을 통과하기 전의 유속 U와 통과한 후의 유속 u의 비인 속도 감소비와 그물감의 $S_n/S$ 값과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나일론 랏쉘 그물감의 경우: $$\frac{u}{U}=1-1.54(\frac{S_n}{S})^(1.47)$$ 나일론 막매듭 그물감의 경우: $$\frac{u}{U}=1-0.97(\frac{S_n}{S})^(1.24)$$ 2. 변형을 고려하지 않는 그물의 경우는 후류의 영향을 고려하여 각각의 그물감에 작용하는 유수저항을 독립적으로 계산하고 그들을 합산하여 전체 저항으로 채택해도 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3. 흐름에 의한 변형이 있는 그물의 경우는 유수저항 R이 유속 U의 제곱에 비례하지 않고 $R={\kappa}U^(1.76{\~}1.83)$으로 나타났다. 4. 유속이 1 m/s인 때의 A, B 및 C 그물의 유수저항은 그들에 생긴 변형으로 인해 변형이 없는 경우의 저항에 비해 각각 $63{\%}, 71.2{\%}$$73.2{\%}$로 나타났다.

In order to develop the method for the calculation of flow resistance acting on cage net, the relation between the velocity reduction factor and $S_n/S$, the ratio of total area of netting projected to the perpendicular to the water flow $S_n$ to wall area of netting S, was derived based on the numerical and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wake flow through a netting twine simplified by a cylinder and a netting panel. The velocity was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velocity reduction factor when the flow passed the netting panel upstream of a cage net. The proposed method for the calculation of fluid force acting on a square cage net was based upon the assumption that it could be divided into four side panels and one bottom panel. It was proved that the force could be calculated by the sum of the drag forces acting on the individual netting pane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