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munity-based Helicobacter pylori Screening and its Effects on Eradication in Patients with Dyspepsia

지역사회에서 소화불량 환자의 Helicobacter pylori 감염에 대한 집단검진 및 치료효과

  • Kim, Seong-H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Hong, Dae-Yong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 Lee, Kyeong-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Seok-Beom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Kim, Sang-Kyu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 Suh, Jeong-Il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Medicine, Dongguk University) ;
  • Kim, Mee-Kyung (Kyongju Health Center) ;
  • Kang, Pock-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College of Medicine, Yeungnam University)
  • 김성호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홍대용 (경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경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석범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상규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서정일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미경 (경주시 보건소) ;
  • 강복수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Published : 2000.09.01

Abstract

Objectives : To investigate the positive rate of Helicobacter pylori in patients with dyspepsia; medical compliance and related factors; the eradication rate a year after screening and related factor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radication of Helicobacter pylori and the improvement of symptoms; and the estimated cost of three alternative approaches to treat Helicobacter pylori in the community. Methods : A total of 510 subjects with dyspeptic symptoms were selected and given the serological test in March 1998. The subjects were all adults over 30 years of age residing in Kyongju city. Results : Of the 510 selected subjects, 375 (73.5%) subjects proved positive for Helicobacter pylori on serological testing. Of these 304 (81.1%) who consented to an endoscopic examination, underwent a Campylobacter-like organism (CLO) test. Of these 304 subjects, 204 (67.1%), who had positive CLO test results, were given the triple therapy - tripotassium dicitrato bismuthate, amoxicillin, and metronidazole. To determine the eradication rate of Helicobacter pylori, 181 (88.1%) out of the 204 subjects who were given the triple therapy completed a follow-up urea breath test one year later. Of these, the Helicobacter pylori of 87(48.1%) subjects was eradicated. Among the 122 subjects who were medication compliant, the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rate was 57.4% (70 subjects), while the eradication rates was only 28.8% (17subjects) in the non-compliant group. The Helicobacter pylori eradic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compliance (p<0.01), but not to other characteristics and habits. The symptom improvement rate tended to be higher 62.1%), in the Helicobacter pylori eradicated group than in the non-eradicated group (59.6%). Conclusions : When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each alternative treatment were considered in the light of cost, antibiotic tolerance and the number of patients to be treated, alternative II was favorable in terms of cost. Alternative III was favorable in terms of the number of patients to be treated, antibiotic tolerance and early detection of gastric cancer. Further long-term research analyzing the cost-benefit and cost-effectiveness of each treatment will be needed as supporting material in creating new policies.

본 연구는 지역사회에서의 소화불량환자의 Helicobacter pylori 양성률, 치료순응률 및 관련요인을 분석하고, 1년 후 요소호기검사로 추적검사를 실시하여 Helicobacter pylori 박멸률 및 관련 요인, Helicobacter pylori 박멸과 증상 호전과의 관계 등을 분석하고, Helicobacter pylori 치료 대안별 비용을 추정하고자 시행되었다. 경주시에 거주하는 3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1998년 3월 510명의 소화불량 증상 보유자를 선정하여 혈청검사 (ELISA)를 실시하였다. 대상자 510명 중 혈청검사 양성자 375명(73.5%)중 내시경검사에 동의한 304명에 대하여 CLO검사를 실시하였고, CLO검사 양성자 204명 에 게 tripotassium dicitrato bismuthate, amoxicillin, metronidazole의 3제요법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소화불량자 510명 중 혈청검사에 의한 양성률은 73.5%였고, 혈청학적 검사 양성자 375명 중 내시경검사 수진율은 304명으로 81.1%였다. 이 중 CLO검사 양성자는 204명으로 67.1%였다. Helicobacter pylori 박멸여부를 판정하기 위한 1년 후 추적검사 완료자는 181명으로 88.7%였으며, 이 중 투약순응자는 122명으로 추적완료자의 67.4%였다. 추적완료자 중요소호기검사상 박멸된 대상자는 87명으로 박멸률은 48.1%였다. 투약순응자의 경우 122명 중 70명이 박멸되어 박멸률은 57.4%였다. CLO 양성여부와 대상자의 특성과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연령, 성별, 주관적 경제적 수준, 흡연, 음주, 비타민 C 복용여부, 규칙적 식사 여부와 관련성이 없었다. 소화불량 증상 중 '상복부 통증' 이외의 모든 증상과 CLO양성 여부와는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다(p<0.05). 추적검사 완료자에서 연령과 음주여부는 투약순응률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나(p<0.05),성별, 흡연여부, 비타민 C 복용여부, 규칙적 식사 여부와는 관련성이 없었다. 치료순응여부와 Helicobacter pylori 박멱률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으나(p<0.01), 그외 대상자들의 특성과 Helicobacter pylori 박멸률 간에는 관련성이 없었다. Helicobacter pylori가 박멸된 군과 박멸되지 않은 군의 증상 호전율은 각각 62.1%, 59.6%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대안별 비용을 분석하였는데, 대안 I은 소화불량환자 전원에게 3제요법을 시행한 후 요소호기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이고, 대안 II는 소화불량환자를 대상으로 혈청검사를 시행 후 양성자에게 3제요법을 시행하고 요소호기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이며, 본 연구에서 적용된 대안 III은 소화불량환자를 대상으로 혈청검사를 시행 후 양성자에게 내시경검사와 CLO검사를 실시하고, 양성자에게 3제요법을 시행한 후 요소호기검사를 시행하는 방법이다. Helicobacter pylori 박멸을 위한 대안별 비용을 분석하면, 1인당 치료 비용은 대안 I 이 61,761원, 대안 II는 51,549원, 대안 III은 58,328원이었다. 대안별 비용과 항생제 내성 문제, 투약대상자의 수 등의 장 단점을 고려할 때 비용면에서는 대안 II가, 투약대상자수, 항생제 내성 문제, 위암의 조기발견 가능성 등을 고려하면 대안 III이 좋은 대안이라 할 수 있다. 지역사회 소화불량환자에서 혈청학적 검사 양성자 중 CLO 양성자율이 67.1%로 높고, 3제요법에 의한 치료율은 48.1%(치료순응자의 치료율은 57.4%)이고, 증상호전율은 60%를 상회하므로, Helicobacter pylori의 높은 감염률을 고려하면 지역사회에서 소화불량환자를 대상으로 한 집단검진 및 박멸사업의 시행은 의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투약 대상자 선정을 위한 선행 검사와 치료약제의 선택을 위한 추가적인 연구는 필요하다. 또한 치료방침에 따른 투약순응률을 향상시키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향후 지역사회에서의 Helicobacter pylori에 대한 연구가 더 수행되어야 하며, 재감염률 등의 분석을 위 한 코호트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정책의 결정을 위한 근거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비용-편익분석이나 비용-효과분석을 할 수 있는 장기적인 연구들이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