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제33권2호
- /
- Pages.199-207
- /
- 2000
- /
- 1975-8375(pISSN)
- /
- 2233-4521(eISSN)
농촌 지역 주민들의 고혈압 발생 위험요인 - 1년간 전향성 추적 조사 -
The Risk Factors for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 a Rural Area - An 1-Year Prospective Cohort Study -
- 오희숙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감신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예민해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강윤식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김건엽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영숙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박기수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손재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이상원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안문영 (청송군 보건의료원) ;
- 천병렬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Oh, Hee-So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m, Si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Yeh, Min-Ha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ang, Yun-Si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Kim, Keon-Yeop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Young-Sook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Ki-Soo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on, Jae-Hee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Won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Ahn, Moon-Young (Chung Song Health Center and County Hospital) ;
- Chun, Byung-Yeol (Department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0.06.01
초록
농촌지역 성인들에서 고혈압 발생과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을 조사하기 위하여 1996년 경상북도 청송군의 20세이상 성인 3,573명을 대상으로 면담조사와 신체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 코호트는 고혈압이 없는 2,580명으로 하였는데, 1년 후 1,781명(69.0%)의 추적조사가 완료되었다. 조사한 독립변수들은 일반적 특성(연령, 성, 교육수준, 경제적상태, 결혼상태), 고혈압 가족력, 식이, 술, 담배, 커피, 스트레스, 그리고 여성에서 경구용 피임약, 폐경상태가 추가되었다. 그리고, 키, 몸무게,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초기혈압, 혈청 총 콜레스테롤이었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남자에서는 연령의 비교위험도가 1.50(95% 신뢰구간; 1.15-1.96), 고혈압 가족력이 2.11(95% 신뢰구간; 1.04-4.26), 허리-엉덩이 둘레비가 2.09(95% 신뢰구간; 1.15-3.79), 초기 수축기 혈압은 120mmHg 미만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30-139mmHg가 3.34(95% 신뢰구간; 1.47-7.60)로 경계형이상 고혈압의 발생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이었다. 여자에서는 연령의 비교 위험도가 1.06(95% 신뢰 구간; 1.03-1.09), 추적 기간동안 새로이 폐경을 경험한 경우는 3.32(95% 신뢰구간; 1.01-10.87), 초기 수축기 혈압은 120mmHg미만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120-129mmHg가 2.00(95% 신뢰구간; 1.02-3.90), 130-139mmHg가 2.64(95% 신뢰구간; 1.34-5.20), 그리고 초기 이완기 혈압은 80mmHg미만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85-89mmHg가 4.09(95% 신뢰구간; 1.86-8.96)로 유의한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이었다. 결론적으로 경 계형 이상 고혈압 발생과 관련된 위험요인으로는 남자에서는 연령, 고혈압 가족력, 허리-엉덩이 둘레비 그리고 높은 정상 혈압이었다. 여자에서는 연령, 폐경이 새롭게 일어난 경우 그리고 높은 정상 혈압이었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peform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in a rural area. Method : Total of 3,573 subjects in Chung-Song County were interviewed and examined in 1996. The study cohort comprised 2,580 hypertension-free subjects aged above 20. One-year follow up was completed for 1,781 subjects(69.0%) in 1997. General characteristics(age, gender, education level, economic status, marital status), the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diet, alcohol, smoking, coffee, stress, past history of oral contraceptive and menopausal status in female, height, weight, waist and hip circumference, baseline blood pressure, and serum total cholesterol were considered as risk factors. Results : Multivariate analysis using logistic regression model indicated that age(RH=1.50, 95% CI; 1.15-1.96), the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RR=2.11, 95% CI; 1.04-4.26), waist-hip ratio(WHR) (RR=2.09, 95%, CI; 1.15-3.79), and baseline systolic blood pressure(130-139/<120mmHg)(RR=3.34, 95% CI; 1.47-7.60) were significant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the development of hypertension above the borderline level in male. In female, age(RR=1.06, 95% CI; 1.03-1.09), change in menopausal sta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