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98년 경주시 한 초등학교 학생과 인근 주민에서 발생한 세균성이질

Epidemiologic Investigation of an Outbreak of Shigellosis in Kyongju, Korea

  • 정철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배근량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 허영주 (국립보건원) ;
  • 이상원 (국립보건원) ;
  • 정은경 (국립보건원) ;
  • 임현술 (동국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발행 : 2000.03.01

초록

1998년 9월 24일부터 10월 24일까지 경주시 M 초등학생과 지역 주민에서 집단적으로 세균성이질이 발생하였다. 모화리 지역 주민 중에는 M 초등학교 학생이 469명(남자 268명, 여자 201명)과 M 초등학교 학생 이외 지역 주민 1,065명(남자 513명, 여자 552명)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들에 대하여 설문조사와 직장도 말검사를 오염원을 파악하기 위하여 학교 급식, 운동회 음식, 음용수에 대하여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설문조사를 실시한 학생을 포함한 지역주민에서 9월 22일 이후부터 10월 24일까지 전체 설사증 발병률은 28.7%이었으며, 성별 발생률의 차이는 없었으나 초등학교 학생에서 유의하게 설사증 발병률이 높았다(p<0.01). 지역별로는 초등학생에서는 설사증 발병률의 차이가 없었으나, 지역주민에서 M 초등학교가 위치한 모화 2리에 타 지역에 비하여 설사증 발병률이 유의하게 높았다(p<0.01). 설사증의 발병일 분포는 학생에서는 9월 22일부터 발병되어 9월 26일 86명에 폭발적 발병이 있었고, 주민에서는 9월 23일부터 발병되어 9월 26일 이후 10여 명 내외로 지속적으로 발병되다가 10월 10일 이후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설사증상이 특성으로 설사양상은 물설사가 392명(89.1%)으로 가장 많았고, 혈변을 호소한 경우는 13명(3.0%)이었다. 설사기간은 1-3일간이 전체의 72.5%를 차지하였고, 설사횟수는 1-3회가 281명(63.9%)으로 가장 많았다. 동반증상 양성률은 복통 74.1%, 발열 56.4%, 두통 55.9%, 오한 40.2%, 후증감 31.4% 등의 순이었다. 수질검사결과 학교 자체 지하수와 간이 상수도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대장균이 검출되었고 일반세균도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가 많았으며, 오수조의 누수를 확인하였다. 이상에서 1998년 경주지역에서 발생한 세균성이질 유행의 원인은 오수조의 누수로 기인한 지하수와 간이상수도 공동 오염으로 추정한다. 경주시교육청에서는 지하수를 폐쇄하였으며, 누수되는 오수조를 교체하였다. 추후 철저한 음용수 및 우수조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Objectives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ources of infection and modes of transmission of an outbreak of shigellosis that occurred among pupils of 'M' primary school and residents near the school in Kyongju from Sept. 24 to Oct. 24, 1998. Methods : The subjects who completed a questionnaire and a rectal swab for microbiologic examinations were 1,534 persons (781 males, 753 females), including 469 pupils of 'M' primary school (268 males, 201 females). Bacteriological examinations of underground water and simple piped water were done. Results : The attack rate of diarrhea was 28.7% in the subjects from Sept.24 to Oct. 24, 1958. There was no difference in attack rate of diarrhea by gender, but i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pupils of 'M' primary school than others (p<0.01). The attack rate of diarrhea by resident areas was no different to the pupils of 'M' primary school, but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esidents of Mohwa 2 Ri except pupils that 'M' primary school is located in (p<0.01). The distribution of date of onset revealed the exposure date to be Sept, 22 and 23 in consideration of incubation periods and common source outbreak followed propagative spread in the epidemic curve. The major characteristics of diarrhea were watery (89.1%) in nature, $1\sim3$ days (72.5%) in duration, $2\sim3$ times (63.9%) in frequency. The clinical symptoms among the diarrheal cases included abdominal pain (74.1%), fever (56.4%), headache (55.9%), chill (40.4%) and tenesmus (31.4%). Conclusions : The source of infection was estimated to be contaminated underground water and simple piped water caused by leakage from the cess pool. It is highly necessary that the management of drinking water and cess fools should be done thoroughl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