밀양댐 수계의 수서곤충 군집에 대하여

Community Structure of Aquatic Insects in Miryang-Dam Water System

  • 박연규 (밀양대학교 환경공학과) ;
  • 박현철 (밀양대학교 환경공학과)
  • 발행 : 2000.12.30

초록

밀양댐 상 하류 7개지점에 대하여 2000년 6월5일부터 6월6일까지 수서곤충을 조사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서 곤충류의 총분류군은 7목 25과 49속 67종이었다. 총 출현종수 67종 중 하루살이류 29종, 날도래류 22종, 강도래류 7종, 파리류 6종이었으며, 기타 뱀잠자리목, 잠자리목, 딱정벌레목이 각 각 1종씩 출현하였다. 출현한 개체수비율은 하루살이류가 71%, 파리류 11.9%, 날도래류 11.2%, 강도래류 5.1%, 딱정벌레류 4.6%로 나타나, 하루살이류가 가장 높은 점유율을 보였다. 전체 분류군에서의 제1우점종은 Epeorus latifolium이었고 제 2우점종은 Epeorus aesculus였으며 우점도지수는 0.36였다. 우점종은 전지점 하루살이류였고, 우점도지수는 제6지점이 0.5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3지점이 0.1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는 제3지점이 4.2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제7지 점이 3.1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지수에 근거한 오수생물계열로 볼 때, 전지점이 Oligosaprobic으로 나타났으며, 전체적으로 극히 양호한 수환경상태를 보였다.

An ecological survey was performed in Miryang dam water system during the period of June 5~6, 2000. The fauna collected from 7 sites consisted of total 67 species, 49 genus, 25 families, in 7 orders of aquatic insects. These included 29 species of Ephemeroptera, 22 species of Trichoptera, 7 species of plecoptera, 6 species of Diptera, 1 species of Megaloptera, Odonata and Coleoptera repectively. The relative abundance of Ephemeroptera, Trichoptera, Plecoptera, Diptera, and Coleoptera was 71 %, 11.2%, 5.1%. 11.9% and 0.6% respectively. The primary dominant species of tatal level was Epeorus aesculus, and second dominant species was Epeorus latifolium. The primary dominant species were Heptagenia kihada at site 1, Ecdyonurus dracon at site 2,3,4 and Epeorus aesculus at site 5, Epeorus latifolium at site 6,7. Dominance indices were ranged from 0.30 to 0.55,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from 3.11 to 4.25(mean=3.71). Saprobic system based on species diversity indicated that whole sites were oligosaprobic.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