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pons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 in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

상부 위장관 장애 환자에서의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의 반응특성

  • Suh, Yong-Woo (Department of Psychiatry, Incheon Christian Hospital) ;
  • Cho, In-Hee (Department of Psychiatry, Incheon Christian Hospital) ;
  • Shin, Kwang-Chel (Department of Psychiatry, Incheon Christian Hospital) ;
  • Chung, Yong-Kyoon (Department of Psychiatry, Incheon Christian Hospital)
  • Published : 2000.12.15

Abstract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characteristics of perceived stress response and relationship between some variables of gastrointestinal symptoms(esp., dyspepsia) and subscales of perceived stress response inventory(PSRI) in patients with upper gastointestinal disorder when they perceived stress. Methods : 84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gastritis, gastric ulcer, duodenal ulcer etc.) and 94 normal controls completed the PSRI developed by Korean psychiatrists. The patient group performed the questionnaire including some variables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Results : Internal consist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all subscales of PSRI. The patient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at total score of PSRI, general somatic symptom subscale score, specific somatic symptom score than control group. As the result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for relationship between some variables of gastrointestinal symptoms ans subscales of PSRI, specific somatic symptom subsclae closely related with illness duration, past illness history and severity of symptom, and the lowered cognitive function & general negative thinking subscale related with the existence of emotional distress. Conclusion : Patients with upper gastrointestinal disorder showed stronger perceived stress response than control group and they experiences somatic symptoms related to autonomic nervous system and/or gastrointestinal symtoms rather than emotional, cognitive, behavioral symtoms when they perceived stress. They also responded to stress as they expeirenced specific somatic symtom when they had long illness duration, past illness history, and high severity of symptom and the existence of emotional distress could develop lowered congnitive function and general negative thinking.

연구목적 : 상부 위장관의 소화 장애를 가진 환자들이 스트레스를 지각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 및 소화장애 증상의 여러 변인들과의 관계를 알아봄으로써 특정 정신신체질환군에서의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특성과 해당 질환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 소화장애 증상으로 인천기독병원 소화기내과를 방문하여 위내시경 소견 상 병변이 확인된 84명의 환자와 94명의 정상 대조군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를 사용하여 스트레스를 인지하였을 때 나타내는 반응을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환자군에서 현재 호소하는 소화장애 증상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 심리적 고통의 존재 여부에 따라 스트레스에 대한 지각반응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평가하였다. 결과 :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는 8개의 하위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구 대상자 178명에서 8개 하위척도와 척도전체의 내적 일치도는 .65~.95로써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환자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척도의 전체총점과 일반적 신체증상척도, 특정신체증상척도의 접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높았다. 소화장애 증상과 스트레스반응 지각척도와의 관련성은 소화장애의 기간, 소화장애의 과거력, 증상의 심각도는 특정신체증상을, 심리적 고통의 존재는 인지기능의 저하와 일반적 부정적 사고를 잘 예측해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실제 상부위장관에 병변을 가진 소화장애 환자들은 정상인에 비해서 강한 스트레스 반응 지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스트레스를 경험하고 인지하였을 때 감정, 인지, 행동 영역의 반응보다는 자율신경계 및 특정신체부위와 연관된 신체증상을 주로 경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이들은 소화장애의 기간이 길고, 과거력이 있을수록, 그리고 증상이 심할수록 스트레스에 대해 소화기 증상을 주로 한 특정신체증상으로 반응하며 심리적 고통을 주는 스트레스의 존재는 인지기능을 저하시키고 부정적인 사고반응을 일으킴을 알 수 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