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Volume 3 Issue 2
- /
- Pages.151-159
- /
- 2000
- /
- 2234-8646(pISSN)
- /
- 2234-8840(eISSN)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and Their Correlations in Children with Nodular Duodenitis
소아 결절성 십이지장염의 임상적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
- Tchah, Hann (Department of Pediatrics, Seoul Red Cross Hospital) ;
- Paeng, Sung-Suk (Department of Pathology, Seoul Red Cross Hospital)
- Received : 2000.07.18
- Accepted : 2000.09.20
- Published : 2000.09.30
Abstract
Purpose: Recently, a wide application of gastrofiberscopy in the pediatric group have revealed that nodular duodenitis is not an uncommon disease in children and is suspected to be associated with H. pylori infection. The aim of this retrospectiv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in children with nodular duodenitis, and to assess the correlations beween both. Methods: During a period of 5 years (Jan. 1995~Dec. 1999), we investigated clinical, endoscopic and histopathologic features of 39 consecutive patients diagnosed as having nodular duodenitis at Pediatric department of Seoul Red Cross Hospital. In 35 children with nodular duodenitis endoscopic biopsy specimens were stained with Hematoxylin & Eosin and Giemsa's stain, and were graded according to the criteria outlined by Triadafilopoulos, Whitehead et al., and Prieto et a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with Graph PAD InStat. Results: The prevalence rate of nodular duodenitis was 17.1% and the most frequent chief complaint was abdominal pain (69.2%). Endoscopically grade 1 was the most common (45.7%) and nodular gastritis was coexistent in 28.3%. The most common histology of the duodenum was grade 2 (54.3%), and the most common histologic score of the stomach was 2 (42.9%). H. pylori was found in the duodenum in 37.1%, and in the stomach in 31.4%.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endoscopic grade and the histologic grade of nodular duodenitis was 0.3983 (p=0.0178).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histologic grade and the grade of H. pylori colonization in the duodenum was 0.5154 (p=0.0018). Conclusion: There was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endoscopic grade and the histologic grade of nodular duodenitis, and was als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histologic grade and the grade of H. pylori colonization in the duodenum. Therfore H. pylori infection should be regarded as an etiologic factor of nodular duodenitis.
목 적: 결절성 십이지장염은 내시경 검사상 십이지장에 두 개 이상의 홍반성 결절들이 보이며 주변에 염증 소견이 관찰되는 질환이다. 최근 위내시경 검사의 발달로 인해 결절성 십이지장염은 소아에서도 발생빈도가 증가하는데 아직 국내외적으로 전반적인 연구가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아에서 결절성 십이지장염의 임상적 및 조직병리학적 소견을 조사하여 이 질환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도모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1995년 1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서울적십자병원 소아내시경실에서 시행된 상부위장관 내시경 검사상 결절성 십이지장염으로 진단된 39례를 대상으로 유병률, 성별 및 연령별 분포, 주증상, 내시경 소견과 조직병리학적 소견 및 이의 상관관계 등에 대해 후향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내시경 검사상 병변의 정도는 십이지장 결절의 크기와 분포에 따라 제 1, 2, 3 도로 분류하였고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검사는 십이지장 고유층의 염증세포 침윤 정도, 상피세포 및 융모의 소실 정도에 따라 정상, 제 1, 2, 3 도로 분류하였다. 위의 조직학적 소견은 위점막의 고유판과 상피내에 염증세포의 침윤 정도 및 상피의 손상 정도에 따라 0에서 6까지 구분하였다. H. pylori의 감염 정도는 Prieto 등의 분류법에 따라 제 0, 1, 2, 3 도로 구분하였다. 십이지장에서 내시경적 소견의 정도와 조직병리학적 소견의 정도 및 H. pylori 감염 정도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통계 프로그램으로 Graph PAD InStat의 linear regression module을 사용하여 correlation coefficient와 p-value를 구하였다. 결 과: 1) 결절성 십이지장염은 17.1%의 유병률을 나타내었고 남녀비는 1 대 2이었다. 7세부터 12세까지에서 가장 빈도(61.5%)가 높았고 주증상은 복통이 69.2%로 가장 많았다. 2) 본 질환의 내시경 등급은 제 1 도 45.7%, 제 2도 34.3%, 제 3 도 20.0%이었으며 동반된 내시경적 소견상 결절성 위염은 28.3%이었다. 3)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제 1 도는 22.9%, 제 2 도는 54.3%, 제 3 도는 22.9%이었으며 위의 조직검사상 제 1 도는 22.9%, 제 2 도는 42.9%, 제 3 도는 25.7%, 제 4 도는 8.6%이었다. 4) 십이지장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H. pylori의 감염 정도는 제 1 도 5.7%, 제 2 도 8.6%, 제 3 도 22.9%로 37.1%의 십이지장 조직에서 H. pylori가 발견되었다. 위의 조직병리학적 검사상 H. pylori의 감염정도는 제 1 도 11.4%, 제 2 도 11.4%, 제 3 도 8.6%로 31.4%의 위 조직에서 H. pylori가 발견되었다. 5) 본 질환의 내시경적 등급과 조직병리학적 등급 간의 상관계수는 0.3983 (p=0.0178)이었고, 조직병리학적 등급과 십이지장 조직에서의 H. pylori 감염 등급간의 상관계수는 0.5154 (p=0.0018)이었다. 결 론: 결절성 십이지장염의 내시경적 등급과 조직병리학적 등급 사이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r=0.3983, p=0.0178), 또한 조직병리학적 등급과 십이지장 조직에서의 H. pylori 감염 등급간에도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보였다(r=0.5154, p=0.0018). 따라서 H. pylori 감염이 본 질환의 발생에 주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며 이외의 유발 원인에 대해서는 추후 지속적인 추적 관찰 및 보다 많은 연구가 시행되어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