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The Outbreak of Red Tides in the Coastal Waters off Kohung, Chonnam, Korea 2. The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in the Phytoplanktonic Community in 1997

  • 정해진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박종규 (인제대학교 환경연구소) ;
  • 최현용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양재삼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심재형 (서울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신윤근 (상지대학교 환경공학과) ;
  • 이원호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김형섭 (군산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학과) ;
  • 조경제 (인제대학교 환경연구소)
  • 발행 : 2000.02.29

초록

전남 고흥군 나로도 해역은 1995년 이후 해마다 8월부터 10월까지 남해안에서 대규모로 발생되는 유해성 적조 가 가장 먼저 발견되는 곳이다. 이 해역에서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에 대한 연구를 하기 위하여, 1997년 6월 20일부터 9월22일까지 모두 5차례에 걸쳐 최대 6개 정점, 5개 깊이에서 시료를 채집한 뒤 적조원인생물과 연관 식물플랑크톤의 분포를 조사하여 본 연구와 동시에 조사, 분석된 수온, 염분, 영양염류 분포 등 환경요인들과의 연관성을 연구하였다. 1997년의 경우 이 해역에서 8월 24일에 적조띠가 처음 발견되었는데 가장 우점했던 유해성적조원인생물은 이제까치 알려진 것과는 다르게 Gyrodinium impudicum이었으며 Cochlodinium polykrikoides의 밀도는 G. impudicum의 밀도보다 훨씬 낮았다. 적조발생직전인 8월 21일에는 G. impudicum의 최대밀도가 90cells $ml^{-1}$로 낮았고 주로 내측(nearshore)에서 밀도가 외측보다 높았으나, 발생직후인 8월 27일에는 G. impudicum의 최대밀도가 30,000 cells $ml^{-1}$까지 이르렀고, 적조띠는 주로 외해(offshore)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갑작스러운 밀도의 증가는 G. impudicum의 최대성장률을 고려해 볼 때 G. impudicum의 적조띠가 다른 곳에서 이미 형성되었다가 본 조사해역으로 이동해왔거나, 저밀도로 산재해 있던 G. impudicum의 개체들이 물리적인 힘에 의하여 급속히 모여 적조띠를 이루었을 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8월 21일과 8월 27일 사이에 내측 정점에서는 G. impudicum의 밀도는 일정한 반면에, Skeleltonema costatum, Chaetoceros pseudocurvisetus, Pseudonitzschia pungens 등 규조류가 대번식하였다. 이는 강우 뒤 육수의 유입이 내측 환경에 상당한 영향을 주었고 이러한 유입수의 고농도의 영양염류가 규조류의 급속한 성장을 야기시켰으며, 규조류의 급증은 오히려 상대적으로 성장률이 훨씬 낮은 G. impudicum 등 와편모류의 성장을 억제했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므로 이 해역에서의 적조발생은 advection, physical aggregation과 같은 물리적인 힘과 적조원인생물과 연관 식물플랑크톤간의 경쟁의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We investigated the phytoplankton community from June to September 1997 in the waters off Kohung, Korea where red tides dominated by harmful dinoflagellates had occurred from August to September or October since 1995. We took water samples five times from 5 depths at 6 or less stations in this study period. The most dominant harmful dinoflagellate during the red tide which had outbroken on August 24, 1997 was Gyrodinium impudicum, not Cochlodinium polykrikoides. On August 21 just before the harmful red tide occurred the abundance of G. impudicum at the inner bay station, 90cells $ml^{-1}$, was higher than that at the outer bay station. However, on August 27 just after the red tide had outbroken, the abundance of G. impudicum at the inner bay station did not increase, whereas that at the outer bay increased rapidly and reached to the maximum of 30,000 cells $ml^{-1}$. Instead, diatoms such as Skeleltonema costatum, Chaetoceros pseudocurvisetus, Pseudonitzschia pungens rapidly increased at the inner bay station where fresh water from lands has reached. The high abundance of diatoms might have inhibited the growth of red tide dinoflagellates at this station. The transport of already formed red tide patches from offshore areas, aggregation of scattered cells driven by physical forces, and/or competition between diatom and dinoflagellates might be responsible for this appearance of dense red tide patches at the outer bay station.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