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 of th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 on the Conceptual Change of Atmospheric Pressure

인지갈등 수업모형이 대기압 개념 변화에 미치는 영향

  • 국동식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과학교육연구소) ;
  • 김대영 (충북 충주여자고등학교)
  • Published : 2000.08.30

Abstract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misconceptions on atmospheric pressur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onceptual change of th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s. The subjects are 184 students in girls' high school and divided into the controlled and test group. Before instruction on atmospheric pressure concept, their concept types were identified and their conceptual changes were compared after instruction by the traditional and th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 The students' understanding level on the atmospheric pressure was low before instruction and they had some misconceptions. But the concept levels related to their everyday life experieces and memorized concept were high. 2) Th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 were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in the formation of atmospheric pressure concept. 3) Though there were some differences among the test items, the cognitive conflict teaching model was identified to be more effective than the traditional teaching model in terms of the durability of atmospheric pressure concept.

이 연구의 목적은 대기압에 대하여 전통적 수업모형과 인지갈등을 이용한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수업 전과 수업 2주후, 수업 3개월 후의 개념 변화를 분석하고 그에 따른 학습 효과를 알아보는 데 있다. 이 연구의 대상은 184명이며 통제집단과 실험집단으로 구분하여 수업 전 개념이해 유형을 파악하고 전통적 수업모형과 인지 갈등 수업모형을 적용하여 학습 한 후 개념변화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업 전에는 대기압과 관련된 기초개념에 대한 이해수준이 낮았으나 일상생활과 관련된 경험적이거나 암기적 개념에서는 비교적 이해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2) 인지갈등 수업모형을 이용한 수업 후의 개념 변화는 전통적 수업모형에 비해 과학적 개념 형성에 학습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3) 문항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수업 3개월 후 개념의 지속성 측면에서도 인지 갈등을 이용한 수업모형이 전통적 수업모형보다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물리교육 v.7 과학개념 형성의 한 인지적 모형 권재술
  2. 한국지구과학회지 v.15 중, 고등학생들의 대기압 개념 이해의 횡단적 연구 국동식
  3.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학위 논문 대기압, 조석, 계절변화에 대한 학생의 개념과 학년간 이해의 차이 국동식
  4.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인지갈등 수업전략이 중학생의 과학개념변화와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명렬
  5.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갈등 상황 제시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물리 개념 변화 김지나
  6.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전기회로에서 갈등상황의 유형이 학생들이 인지적 갈등 유발에 미치는 영향 박용운
  7.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인지갈등 전략이 아동의 힘 개념변화에 미치는 효과 심연이
  8. 한국지구과학회지 v.15 대기압과 달의 운동에 관한 중학생들의 개념 분석 임청환
  9. 한국지구과학학회지 v.12 중학교 학생들이 지구과학 개념에 대한 오개념의 형성 원인 분석 정진우
  10. Educational psychology: A Cognitive view Ausubel, D. P.
  11. Children's ideas in Science Driver, R.;Guensne, E.;Tiberghien, A.
  12. Science Education v.66 Children's science and its consequences for teaching Gilbert, J.K.;Osborne, R.J.;Fensham, P. J.
  13. European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v.8 Toward on explanation of conceptual change Hashweh, M.J.
  14. Science Education v.66 Clinical Interview and the Measurement of Conceptual Change Posner, G.J.;Gertzog, W.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