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of the Middle and Lower Tropospheric Temperatures from MSU and ECMWF

MSU와 ECMWF에서 유도된 중간 및 하부 대류권 온도의 시 ${\cdot}$ 공간 변동

  • Yoo, Jung-Mo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Lee, Eun-Joo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유정문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이은주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Published : 2000.10.30

Abstract

Intercomparisons between four kinds of data have been done to estimate the accuracy of satellite observations and model reanalysis for middle and lower tropospheric thermal state over regional oceans. The data include the Microwave Sounding Units (MSU) Channel 2 (Ch2) brightness temperatures of NOAA satellites and the vertically weighted corresponding temperature of ECMWF GCM (1980-93). The satellite data for midtropospheric temperatures are MSU2 (1980-98) in nadir direction and SC2 (1980-97) in multiple scans, and for lower tropospheric temperature SC2R (1980-97). MSU2 was derived in this study while SC2 and SC2R were described in Spencer and Christy (1992a, 1992b). Temporal correlations between the above data were high (r${\ge}$0.90) in the middle and high latitudes, but low(r${\sim}$0.65) over the low latitude and more convective regions. Their values with SC2R which included the noises due to hydrometeors and surface emission were conspicuously low. The reanalysis shows higher correlation with SC2 than with MSU2 partially because of the hydrometeors screening. SC2R in monthly climatological anomalies was more sensitive to surface thermal condition in northern hemisphere than MSU2 or SC2. The first EOF mode for the monthly mean data of MSU and ECMWF shows annual cycle over most regions except the tropics. The mode in MSU2 over the Pacific suggests the east-west dipole due to the Walker circulation, but this tendency is not clear in other data. In the first and second modes for the Ch2 anomalies over most regions, the MSU and ECMWF data commonly indicate interannual variability due to El Ni${\tilde{n}$o and La Ni${\tilde{n}$a. The substantial disagreement between observations and model reanalysis occurs over the equatorial upwelling region of the western Pacific, suggesting uncertainties in the model parameterization of atmosphere-ocean interaction.

중간 및 하부 대류권의 열적 상태에 대한 관측 및 모델 결과들의 상태적인 정확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의 위성관측 MSU 채널2 밝기온도 자료들과 ECMWF 모델의 재분석 (1980-93년) 자료를 상호 비교하였다. 중간 대류권 온도를 반영하는 위성관측 자료는 직하점에서의 MSU2 (1980-98년)와 여러 주사각으로부터 유도된 SC2 (1980-97년)이고, 하부 대류권 온도를 반영하는 자료는 SC2R (1980-97년)이다. 여기서 MSU2는 본 연구에서, 그리고 SC2와 SC2R은 Spencer and Christy (1992a, 1992b)에서 유도되었다. 위의 네 종류 자료간의 상관은 중 ${\cdot}$ 고위도에서 높았으나 (r${\ge}$0.90), 저위도 그리고 대류가 활발한 열대 지역에서 낮았다 Hydrometeors (구름과 강수) 및 지표방출의 영향으로 잡음을 포함하는 SC2R에 대한 다른 자료의 상관이 특히 낮았다 (r${\sim}$0.65). 또한 모델 재분석에 대한 위성자료의 상관은 MSU2보다 강수 효과가 일부 제거된 SC2에서 높았다. 세 종류의 MSU 기후값의 아노말리 비교에서 지표에 민감한 SC2R의 북반구 온도는 MSU2나 SC2에 비해 현저하게 1월에 하강하였고 7월에 상승하였다. 관측 및 모델 온도들에 대한 경험직교함수 분석에서 월평균값 모드1은 열대 태평양을 제외하고 연주기를 보였다. 전체 태평양에 대한 MSU2 모드1은 Walker 순환에 의한 동 ${\cdot}$ 서 쌍극자 형태를 보인 반면, 다른 위성관측과 모델 자료에서는 이러한 형태가 약하였다. 관측과 모델은 열대 태평양에 대한 아노말리값의 모드1, 2에서 엘니뇨와 라니냐에 의한 경년변동을 뚜렷하게 보였다. 적도 서태평양 용승 지역에서의 관측과 모델 결과 사이의 불일치는 모델에서 대기-해양 상호작용이 보완되어야 함을 제시한다.성관측 자료가 기후변동에서의 피이드백 작용을 이해하는데에 유용하게 사용될수 있음을 본 연구는 제시한다.EX>$^{\circ}$C, 0.16${\sim}$0.62의 X$_{CO}\;_{2}$, 5${\sim}$14mole% CH$_{4}$, 0.06${\sim}$0.31mole% N$_{2}$, 0.4${\sim}$4.9wt.% NaCl의 염농도. 설화 금광산의 온도-조성 자료는 설화 함금열수계가 화강암질 용융체와 인접한 부분에 정치되어 있었음을 지시한다. 이러한 화강암질 용융체는 CH$_{4}$ 형성을 촉진시켜 유체를 환원상태로 변환시킨 것으로 추정된다. 철황화물중 자류철석이 지배적으로 산출됨은 환원유체 상태를 지시하고 있다. 황화광물의 ${\delta}\;^{34}$S값(-0.6 ${\sim}$ 1.4$%_o$)은 황의 심부 화성기원을 지시하고 있다.위해서는 각 행정부서별로 사용하는 행정자료들을 연계${cdot}$통합할 수 있도록 국가사회전반에 걸쳐 행정 체제가 갖추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모든 국민 개개인에 관한 기본정보, 개인들이 거주하며 생활하는 단위인 개별 주거단위에 관한 정보가 행정부에 등록되어 있고, 잘 정비되어 있어야 하며, 정보의 형태 또한 서로 연계가 가능하도록 표준화되어있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현재 인구센서스에서 표본조사를 통해 부가적으로 생산하는 경제활동통계를 생산하기 위해서는 개인이 속한 사업체를 파악할 수 있도록 모든 사업체가 등록되어 있고, 개인의 경제활동과 관련된 각종 정보들이 사업체에 잘 기록 및 정비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행정자료 기반의 인구센서스통계생산은 단지 국가의 통계뿐만 아니라 행정조직과 행정체계를 정비하고, 개인과 사업체의

Keywords

References

  1.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열대 태평양 대기와 해양의 계절 및 정년 변동의 시공간 구조 김규명
  2. 기후학 I 오재호
  3. 한국기상학회지 v.32 no.3 위성자료에서 유도된 열대해양에서의 대기운동: 수적활동과 관련된 연직속도 유정문
  4. 한국지구과학회지 v.19 no.6 마이크로파 위성자료의 하부성층권 온도에 대한 경험직교함수 분석 유정문;김소현
  5. 한국기상학회지 v.34 no.2 해양에 대한 MSU 채널2(53.74 GHz) 밝기온도와 해수면 온도의 경험직교함수 분석 유정문;김규명;정정옥;허창희
  6. 한국기상학회지 v.35 no.4 중간대류권 열정 상태에 관한 위성자료와 무델 재분석 결과 사이의 비교 유정문;박은정;김규명;허창희
  7.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해양에 대한 MSU 채널1(50.30GHz)밝기온도와 해수면 온도의 관계 정인경
  8. 한국기상학회지 v.24 no.1 한국 지역 강수의 변동성에 관한 연구 허창희;강인식
  9. Meteorology Today(5th ed.) Ahrens, C.D.
  10. Monthly Weather Review v.100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nnual variability in the 200 mb tropical wind field and the Southern Oscillation Arkin, A.P.
  11.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v.92 Detecting change in global climate induced by greenhouse gases Barnett, T.P.;Schlesinger, M.E.
  12.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80 no.9 NCEP forecasts of the El Nifio of 1997-98 and its U.S. impacts Bamston, A.G.;Leetmaa. A.;Kousky, V.E.;Livezey, R.E.;O'Lenic, E.
  13.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78 no.7 Comparison of uropospheric temperatures derived from the NCEP/NCAR reanalysis, NCEP operational analysis, and the microwave sounding unit Basist, A.N.;Chelliah, M.
  14.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69 no.10 Integration of space and in situ observations to study global climate change Bengtsson, L.;Shukla, J.
  15. Climatic Change v.31 Temperature above the surface layer Christy, J.R.
  16. Journal of Climate v.11 no.8 Analysis of the merging procedure for the MSU daily temperature time series Christy, J.R.;Spencer, R.W.;Lobl, E.S.
  17. Journal of the Atmospheric Sciences v.29 no.7 Vertical resolution of temperature profile obtained from remote radiation measurements Conrath, B.J.
  18. ECMWF Re-Analysis Project Rep v.1 ERA description Gibson, J.K.;Kallberg, P.;Uppala, S.;Hemandez, A.;Nomura, A.;Sarrano, E.
  19. Remote Sensing of the Atmosphere and Oceans Analysis of satellite-based microwave retrievals of temperature and thermal winds: Effects of channel selection and a-priori mean on retrieval accuracy Grody, N.C.;A. Deepak(Ed.)
  20. Journal of Climate and Applied Meteorology v.22 no.4 Severe storm observation with microwave sounding unit Grody, N.C.
  21. Climatic Change v.25 Commentary on the significance of global temperature records Hansen, J.E.;Wilson, H.
  22. Climatic Change v.30 Satellite and surface temperature data at odds? Hansen, J.E.;Wilson, H.;Sato, M.;Ruedy, R.;Shan, K.P.;Hansen, E.
  23. Monthly Weather Review v.109 no.4 Planetary scale atmospheric phenomena associated with the southern oscillation Horel, J.D.;Wallace, J.M.
  24. Journal of Climate v.5 no.12 An evaluation of monthly mean MSU and ECMWF global atmospheric temperature for monitoring climate Hurrell, J.W.;Trenberth, K.E.
  25. Journal of Climate v.11 no.5 Difficulties in obtaining reliable tremperature trends: Reconciling the surface and satellite microwave souding unit records Hurrell, J.W.;Trenbeerth, K.E.
  26. Journal of Applied Meteorology v.6 Empirical eigenvectors of sea-level pressure, surface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complexes over North America Kutzbach, J.E.
  27. Journal of Climate v.11 no.5 Anomalous atmospheric hydrologic processes associated with ENSO: Mechanisms of hydrologic cycle-radiation Interaction Lau, K.-M.;Ho, C.-H.;Kang, I.-S.
  28. IEEE Trans. Microwave Theory Tech. v.44 Prelaunch calibration of the Advanced Microwave Sounding Unit-A for NOAA-K Mo, T.
  29. Climate Change 1995 Observed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 Nicholls, N.N.;Gruza, G.V.;Jouzed, J.;Karl, T.R.;Ogallo, L. A.;Parker, D. E.;Houghton, J. T.(et al.)(Ed.)
  30. Monthly Weather Review v.110 Sampling errors in the estimation of empirical orthogonal functions North, G.R.;Bell, T.L.;Cahalan, R.F.;Moeng, F.J.
  31. Climatic Change v.30 no.3 Examination of "Global atmospheric temperature monitoring with satellite microwave measurement" Part 1: Theoretical considerations Prabhakara, C.;Nucciarone, J.J.;Yoo, J.-M.
  32. Climatic Change v.33 no.4 Examination of "Global atmospheric temperature monitoring with satellite microwave measurement" Part 2: Analysis of satellite data Prabhakara, C.;Yoo, J.-M.;Maloney, S.P.Nucciarone, J.J.;Arking, A.;Cadeddu, M.;Dalu, G.
  33. Geophysical Research Letters v.25 no.11 Global warming deduced from MSU Prabhakara, C.;Iacovazzi, R.;Yoo, J.-M.;Dalu, G.
  34. Journal of Climate v.12 Comments on "Analysis of the merging procedure for the MSU daily temperature time series Parbhakara, C.;Iacovazzi, R.
  35. Science v.22 Meteorological aspects of the El Nifio/Southern Oscillation Rasmusson, E.M.;Wallace, J.M.
  36. Science v.247 Precise monitoring of global temperature trends from satellite Spencer, R.W.;Christy, J.R.
  37. Journal of Climate v.3 no.10 Global atmospheric temperature monitoring with satellite microwave measurements: Method and results 1979-84 Spencer, R.W.;Christy, J.R.;Grody, N.C.
  38. Climatic Change v.33 Analysis of Examination "Global atmospheric temperature monitoring with satellite microwave measurement" Spencer, R.W.;Christy, J.R.;Brody, N.C.
  39. Journal of Climate v.5 no.8 Precision and radiosonde validation of satellite gridpoint temperature anomalies, Part Ⅰ: MSU channel 2 Spencer, R.W.;Christy, J.R.
  40. Journal of Climate v.5 no.8 Precision and radiosonde validation of satellite gridpoint temperature anomalies, Part Ⅱ: A tropospheric retrieval and trends during 1979-1990 Spencer, R.W.;Christy, J.R.
  41. Journal of Climate v.5 no.12 Monitoring global monthly mean surface temperatures Trenberth, K.E.;Christy, J.R.;Hurrell, J.W.
  42.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v.78 no.12 The definition of El Nifio Trenberth, K.E.
  43. Nature v.394 Effects of satellite orbital decay on MSU lower tropospheric temperature trends Wentz, F.J.;Schabel, M.
  44. Statistical Methods in the Atmospheric Science Wilks, D.S.
  45. Journal of Climate v.7 no.11 The signature of ENSO in global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fields derived from the Microwave Sounding Unit Yulaeva, E.;Wallace, J.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