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화 ${\cdot}$ 보충형 수준별 수업모형의 중학교 과학 교육에서의 적용 효과; '물의 순환과 일기변화 단원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Enriched-Supplementary Ability-Grouping Within Class to Education in Middle School Science: In the Capter of 'Water Cycle and Weather Change'

  • 김혜현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 유정문 (이화여자대학교 과학교육과)
  • Kim, Hye-Hyu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 Yoo, Jung-Moon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Ewha Womans University)
  • 발행 : 2000.04.28

초록

2000년도부터 교육 현장에 적용될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은 수준별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을 주요 핵심으로 하고 있으며, 특히 과학과에서는 심화 ${\cdot}$ 보충형 수준별 교육과정이 적용될 것이다. 이에 대비하여 본 연구에서는 심화 ${\cdot}$ 보충형 수준별 수업 모형이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하여 중학교 2학년 '물의순환과 일기 변화' 단원에 대하여 심화 ${\cdot}$ 보충형 교수-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또한 중학교 2학년의 4개반 152명을 대상으로 실험반(76명)에 대하여 심화 ${\cdot}$ 보충형 수준별 수업을, 그리고 통제반(76명)에 대하여 수준을 고려하지 않은 획일적인 수업을 각각 약 6주간 실시하여 학업 성취도 및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 대한 변화를 공분산 분석으로 비교 ${\cdot}$ 분석하였다. 수업 처치 후, 실험 집단은 통제 집단에 비하여 학업 성취도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고, 이러한 효과는 상위권 학생들보다 하위권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한편 과학에 관련된 태도 변화에 있어서 통제 집단은 향상되었으나 실험 집단은 거의 변화가 없는 수준별 수업의 유의미한 부정적 효과를 보였다. 과학에 관련된 태도의 세 가지 영역을 분석한 결과에서 실험 집단은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적 태도' 에서 거의 변화를 보이지 않았지만,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에서는 유의미한 부정적 변화를 보였다. 특히, 하위 요소 중 '과학 수업에 대한 불안' 에서 수준별 수업의 부정적 효과가 컸다. 학업 성취 수준에 따른 과학에 관련된 태도에서 상위권 학생들은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의 하위 요소인 '과학 교수 방법에 대한 인식 ·만족' 에서 긍정적, 그리고 하위권은 '과학 수업에 대한 불안 에서 부정적 변화를 보였다. 본 연구의 수준별 수업 방법이 학생 개개인의 수준에 적합한 학습을 제공하여 학업 성취도를 증진시켰지만, 과학 관련 태도를 전반적으로 개선하지 못했다. 따라서 학생들의 흥미와관심도 고려되는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교과 내용의 적절한 변화가 동반된다면, 수준별 수업의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고 본다.

The ability-grouping is the essence of the seventh educational curriculum, applied to school from year 2000, and its enriched-supplementary type will be carried out for science course.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enriched-supplementary ability-grouping within class to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ttitude, related to science. Thus we develop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th intellectual level about the subject of 'Water Circulation and Weather Change' in Middle-School Science 2. Then we tested 152 eighth graders who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The experimental one was taught through the ability-grouping for about six weeks, while the control through conventional lecture. The improvement of the experimental group in academic achievement was more effective than that of the control, and particularly to below-average students who ranked in lower thirty percent. The experimental one got more negative change in domain 'Science as a Subject, and in subdomain 'Anxiety in Science Lesson'. While outstanding students who ranked in upper thirty percent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hange in subdomain 'Satisfaction in Teaching Method, the below-average were negatively changed in subdomain 'Anxiety in Science Lesson'. The current ability-grouping was suitable for the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but not for the general attitude related to science. In order to enhance the ability-grouping effect in science education, we need to additionally consider student's interest and concern in grouping, and develop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ogether with proper textbook cont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제3차 대통령 보고서 세계화·정보화 시대를 주도하는 신교육체제 수립을 위한 교육개혁 방안 교육개혁위원회
  2.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1997-15 교육부
  3. 교육과정연구 v.15 수준별 개별학습을 실현하는 교육과정 김경자
  4. 한국지구과학회지 v.20 STS 자료를 이용한 자기주도적 과학 학습의 강화 효과; 중학교 과학2 중심으로 김소현;유정문
  5. 교육경북 v.115 수준별 교육 과정 운연과 적용방안 김재춘
  6. 교육과정연구 v.15 다시 생각해 본 수준별 교육과정; 수준별 교육과정의 도입, 편성, 운영 논의와 관련된 쟁점을 중심으로 김재춘
  7. 수준별 교육과정의 이해 김재춘
  8.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심화보충형 수준별 수업이 학습능력별 학습자의 학업성취도와 과학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김해진
  9.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보충형 수준별 교육 과정에 의한 교수 방법의 적용 효과: 중학교 2학년 과학을 중심으로 김혜현
  10.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생물수업에서 수준별 수업이 과학지식, 과학탐구능력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박순혜
  11.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과학과목에서의 수준별 소집단 수업의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이지현
  12. 제7차 교육과정 개정에 따른 수준별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방안 연구 조난심;김재춘;허경철;박순경;홍후조
  13. 이화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준별 과학과 교육과정 도입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 조사 조미란
  14.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열린교육의 수준별 중등과학학습이 학생들의 학습태도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조수민
  15.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중학교 과학 교과의 지질학 영역에서 신문을 이용한 수업의 적용 효과 조진희
  16. 과학교육 v.98 중학교 수준별 과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보고(2) 한복수
  17. 과학교육 v.98 중학교 수준별 과학 교수-학습 자료 개발 연구보고(3) 한복수
  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4 과학탐구 평가표의 개발 허명
  19.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13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및 과학 교과에 대한 태도 조사 연구 허명
  20. 교육과정연구 v.14 개별화 수업에 있어서 교사의 열할 허혜경
  21. Educational Leadership v.48 Ability-grouping research reviews; What do they say about grouping and the gifred? Allan, S. D.
  22. Scaffolding Children's Learning; Vygotsky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Berk, L. B.;Winsler, A.
  23.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v.51 Effect of ability grouping in British secondary schools Kerckhoff, A. C.
  24.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19 Effects of ability gouping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A meta-analysis of evaluation findings Kulic, C. L.;Kulic, J. A.
  25. New Heaven Keeping Track: How Schools Structure Inequality Oakes, J.
  26. Review in Education v.8 Social implication of educational grouping Rosenbaum, J. E.
  27.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57 Ability grouping and student achievement in elementary schools: A best-evidence synthesis Slavin, R. E.
  28.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v.60 Achievement of ability grouping in secondary school: A best-evidence synthesis Slavin, R. E.
  29.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 Vygotsky, L.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