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토착유기농업의 토양비옥도 증진책에 대한 환경보전적 기능 평가

Assessment of Environmentally Sound Function on the Increasing of Soil Fertility by Korean Organic Farming

  • 손상목 (단국대학교 한국유기농업연구소) ;
  • 한도희 (단국대학교 한국유기농업연구소)
  • Sohn, Sang-Mok (Research Institute of Organic Agriculture, Dankook University) ;
  • Han, Do-Hee (Research Institute of Organic Agriculture, Dankook University)
  • 발행 : 2000.06.30

초록

과학적 근거에 기초한 Codex등 국제유기농업 규정과 달리, 유기독농가들의 경험축적에 주로 근거하는 한국 토착유기농업의 토양비옥도 유지증진책에 대한 환경보전 기능을 토양비료학적인 측면에서 검토하는데 목적을 두고 팔당 상수원보호구역에서 유기농법을 실시하는 100농가를 대상으로 토양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표토층의 EC는 배추 $2.30dS\;m^{-1}$, 상추 $2.29dS\;m^{-1}$, 쑥갓 $1.83dS\;m^{-1}$ 등으로, 적정범위인 $2.00dS\;m^{-1}$를 초과하는 농가의 42%가 작물재배에 부적절한 염류집적정도를 나타내었고, 총탄소함량은 표토층 $74g\;kg^{-1}$, 심토층 $52g\;kg^{-1}$로서, 적정범위 $20{\sim}30g\;kg^{-1}$에 비하여 2~4배 가량 높았는데, 이는 토착유기농법이 지력향상을 위해 유기질비료를 과다 시용한 때문이다. 표토층과 심토층에서의 질산태질소 함량은 배추 $82mg\;kg^{-1}$$75mg\;kg^{-1}$, 상추 $86mg\;kg^{-1}$$72mg\;kg^{-1}$, 쑥갓 $66mg\;kg^{-1}$$42mg\;kg^{-1}$으로, 유기농가 포장의 질산태질소 함량이 관행농가 포장에 비해 4~7배나 높다는 것과 표토층으로 부터 서서히 심토층으로 질산태질소가 용탈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어 지하수와 하천의 오염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었다. 유효인산 함량은 배추의 경우 표토층과 심토층에서 $918mg\;kg^{-1}$$641mg\;kg^{-1}$, 상추 $954mg\;kg^{-1}$$466mg\;kg^{-1}$, 쑥갓 $1114mg\;kg^{-1}$$873mg\;kg^{-1}$ 등으로, 관행농업 재배지에 비해 약 2배 정도 높았다. 특히 퇴비에 함유된 인산은 대개 수용성인 피틴태이므로 과다 집적된 인산은 점차 지하로 용탈되거나 강우시 유거수와 함께 이동되어 비점오염원의 하나로 하천이나 상수원을 오염시킬 우려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의 결과는 유기질비료에만 의존하는 한국 토착유기농법의 토양비옥도 증진책에 의한 질산태질소, 인산염, 염류집적 등으로 토양오염 현상이 심각함과, 한국토착유기농업 실천농가포장에서 질산태질소와 인산염에 의한 지하수 수질오염 위험성을 나타냈다.

In order to get some basic data on environmental friendly function by Korean organic farming,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soil were determined on 100 farm cultivating site in Paldang watershed area of Great Seoul. The EC and content of $NO_3-N$ and Av. $P_2O_5$ in topsoil(0~30cm) showed $2.30dS\;m^{-1}$, $82mg\;kg^{-1}$, $918mg\;kg^{-1}$ in the soil cultivated chinese cabbage. $2.29dS\;m^{-1}$, $86mg\;kg^{-1}$, $954mg\;kg^{-1}$ in the soil of lettuce, $1.83dS\;m^{-1}$, $66mg\;kg^{-1}$, $1114mg\;kg^{-1}$ in the soil of crown daisy. These salt accumulation(EC) and the high concentration of mineral content in topsoil such as nitrate and phosphate showed the soils of organic farming were contaminated by practice of organic farming for the maintenance strategy of soil fertility. The $NO_3-N$ and Av. $P_2O_5$ in the subsoil(30~60cm) showed $75mg\;kg^{-1}$ and $641mg\;kg^{-1}$, $72mg\;kg^{-1}$ and $466mg\;kg^{-1}$, $42mg\;kg^{-1}$ and $873mg\;kg^{-1}$ in soil cultivated chinese cabbage, lettuce and crown daisy respectively. It indicates eventually the high concentration of nitrate and phosphate in topsoil caused penetration to subsoil, and the high concentration of mineral contents in subsoil indicate the potential risk of leaching of ground water by Korean organic farming. The positive correlation at 1% between EC and $NO_3-N$, $K_2O$, T-C, $P_2O_5$ and T-N show the salt accumulation in the both soil depth of Korean organic farming were caused by minerals such as $NO_3-N$, $K_2O$, T-C, $P_2O_5$ and T-N by overuse of organic fertilizer.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