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영양지역 고추 재배지 토양의 특성

Soil Characteristics and its Influences on the Yields and Quality of Red Pepper in Yeongyang Area, Gyeongbug Province

  • 최정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 손일수 (농촌진흥청 영남농업시험장) ;
  • 정연태 (농촌진흥청 영남농업시험장) ;
  • 이동훈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 박만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 최충렬 (경북대학교 농과대학)
  • Choi, Jyung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Son, Il-Soo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
  • Jung, Yeun-Tae (National Yeongnam Agricultural Experiment Station, RDA) ;
  • Lee, Dong-Hoon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Park, Man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Choi, Choong-Lyeal (Department of Agricultural Chemistr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발행 : 2000.06.30

초록

경북 영양지역의 밭토양을 세부 정밀 조사하여 분류하고, 고추재배지 토양을 특성별로 구분하여, 토양특성에 따른 고추재배지의 이화학성과 생육상황을 비교 분석하여 고추의 생육 및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았다. 영양지역 밭토양의 유형별 분포에 있어 곡간지가 전체면적(4,894ha)의 41.4%로 제일 많이 분포하였으며, 경사정도 및 토성에 따른 분포에 있어서는 7~15% 경사를 가진 "경사지"가 61.2%로 가장 많았고, 토성별로는 식양질토가 전체의 약 73.2%로서 고추재배지 토양은 대부분 좋은 조건으로 나타났다. 영양지역의 밭토양을 분류한 결과로서 대군수준에서 염기포화도가 높으나, 미숙토양으로서 반층이 없는 Eutrochrepts가 전체의 약 49.5%로 가장 넓게 분포하였다. 영양지역 토양의 형태적 특성별 화학성은 지대별로는 중간지(100~250m)에서, 배수등급별로는 "약간양호"한 토양에서 무기성분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형태 별 고추의 생육특성에 있어서는 중간지에서 과장이 길었으며, 중산간지에서 초장과 주경장이 긴 편이었다. 품질 및 수량에 있어서는 산간지가 수량은 낮고 당도도 떨어지지만 생과중은 무거운 편이었으며 토성별로 식질토에서 당도 및 수량이 높게 나타났다. 배수등급이 "약간양호"한 토양에서 건물중 및 수량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는 전 생육 기간을 통하여 충분한 수분공급이 원활하여 수량과 건물중이 고추를 생산에 유리한 조건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The total acreage of 4,894ha of upland soils in Yeongyang area, the main crop cultivated were red-pepper. They were distributed mainly on local valleys and alluvial fans(54.9%), about 61.2% had 7~15% slopes, and about 73.2% had fine loamy family in soil texture. the soils were classified into Ochrepts(73.7%). Udalfs(16.9%), Fluvents(6.2%) and Psamments(3.2%) etc. The upland soils with 100~250m in altitude and "moderately well drained" had higher contents in inorganic nutrients. The red-pepper Produced in the high altitude(>400m) were lower in quality and yields, while the content of sugar and yields of pepper produced in fine loamy textured soils were higher than other soil textures. The yields of red-pepper produced in the "moderately well drained" soils which had better water supply capacity were higher than "well drained" soil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