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 생산공정에서 발생하는 폐수의 탈색 및 슬러지 회수

Decolorization of Wastewater and Collecting of Sludge from Hanji Production

  • 최희선 (수원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화학과) ;
  • 김태진 (수원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과)
  • Choi, Hee-Seon (Department of Chemistry, The University of Suwon) ;
  • Kim, Tai-Jin (Department of Chemical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Suwon)
  • 투고 : 1999.12.21
  • 발행 : 2000.06.25

초록

한지 제조공정 중 발생하는 폐수의 탈색과 최종 슬러지 회수조건에 대해 연구하였다. 잿물삶기 공정에서 생긴 50 mL 폐수의 검은 색은 산화제인 $Ca(OCl)_2$를 2.0g 정도 가하면 효과적으로 탈색시킬 수 있었는데 이는 표백공정 중에 사용되는 과량의 표백제를 재활용하면 매우 효과적으로 탈색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전기분해적 산화에 의한 탈색은 전혀 효과적이지 못하였다. 최종 슬러지를 회수하는데는 현재 사용하는 고분자 응집제로도 효과적으로 슬러지가 제거됨을 알 수 있었지만 고분자 응집제를 사용할 경우 필히 $Al_2(SO_4)_3$을 사용하여야 하고 슬러지를 제거할 때 함께 나오기 때문에 순수한 섬유질 형태의 슬러지를 얻을 수 없었다. 그러나 triethanolamine과 Triton X-100과 같은 계면활성제를 이용하였을 때 슬러지 회수율은 85% 정도로 고분자 응집제를 이용할 때와 거의 같은 효율을 나타내었고, $Al_2(SO_4)_3$을 사용하지 않아도 되며, 슬러지도 섬유질 형태이었기 때문에 재활용하기에도 좋으리라고 예상된다.

The decolorization of wastewater and the collecting conditions of final sludge from hanji production were investigated. Black wastewater (50 mL) from the process cooking with NaOH could be effectively decolorized by 2.0 g of $Ca(OCl)_2$ So, if excess bleach $Ca(OCl)_2$ used in bleaching process were recycled, the decolorization of wastewater by adding less $Ca(OCl)_2$ would be successfully realized. However, the decolorization by electrolyzed oxidation was ineffective. The final sludge could be effectively collected by polymer coagulator, but the addition of $Al_2(SO_4)_3$ was required, and the pure fibrous sludge could not be collected. Therefore, surfactants such as triethanolamine and Triton X-100 were used instead of polymer coagulator. The collecting yield was obtained about 85% as good as those by polymer coagulator. When mixed surfactants were used in collecting the final sludge, $Al_2(SO_4)_3$ was not required. In addition, as the pure fibrous sludge could be collected, the effective recycling of sludges would be done.

키워드

참고문헌

  1. Anal. Sci. & Tech. v.12 no.4 H. S. Choi;T. J. Kim
  2. 한국의 종이문화 정선영
  3. 국립중앙과학관 총서 9 전통과학기술 조사연구(Ⅲ) (염색, 한지, 옻칠) 정동찬;유창영;홍현신;윤용현;신영순
  4. 한국의 화학공업과 기술 강흥
  5. 7th Ed. Fundamentals of Analytical Chemistry D. A. Skoog;D. M. West;F. J. Holler
  6. 4th Ed.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D. C. Harris
  7. Bull. Korean. Chem. Soc. v.19 no.1 Y. S. Kim;Y. J. Jung;H. S. Cho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