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erm Storage and Disappearance in the Reproductive Tract of the Female Korean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during the Hibernation

동면기 동안에 한국산 관박쥐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자성 생식도관 내의 정자저장과 소멸

  • Lee, Jung-Hun (Division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nam University) ;
  • Son, Sung-Won (Division of Life Sciences, College of Natural Sciences, Kyungnam University)
  • 이정훈 (경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 손성원 (경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0.03.01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sperm storage, and the fate of spermatozoa in the female reproductive tract during hibernation in Korean greater horseshoe bat, 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1) Numerous sperm occurring in uterine lumen and glands were engulfed, and disappeared by the polymorphouclear leucocytes during the hibernation. (2) The stored sperm present in caudal isthmus of oviduct only, the heads of sperm toward the oviductal epithelial cells. Therefore, the projected sperm during the mating season are only alive in the caudal isthmus of oviduct in the long hibernation. The present result suggests that the caudal isthmus of oviduct may play an important role as the principal storage site in capacitation of sperm. (3) In March, the sperm do not occur in the caudal isthmus of oviduct. It suggests that the stored sperm in the caudal isthmus of oviduct should migrate to the ampulla of the site of fertilization to meet ovum in the period of ovulation. The results of this experiment consider that prolonged sperm storage, fate of sperm and sperm migration in the long hibernation have a kind of mechanism for the fertilization.

동면기 (11월부터 3월까지) 동안의 한국산 관박쥐(Rhinolophus ferrumequinum korai) 자성 생식도관 내의 정자저장, 정자 생존 여부 및 정자이동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자궁내강, 자궁선내의 정자들은 다수의 백혈구들에 의해 포식되고 소멸되었다. (2)정자들은 수란관 미측 협부에서만 저장되었고, 정자들의 두부는 상피세포쪽을 향하고 있었다. 이는 교미기(10월 초-중순경)에 사출된 정자들이 긴 동면기 동안에 수란관 미측 협부에서만 생존 가능함을 의미하며, 수란관의 미측 협부가 정자의 수정능 획득(capacitation)에 필요한 최적의 장소임을 의미한다. (3) 동면후기인 3월의 수란관 미측협부에는 정자들이 관찰되지 않았다. 이는 배란기인 4월에 난자를 만나기 위해 정자들이 수정부위인 팽대부 쪽으로 이행하였음을 의미한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보아, 긴 동면기 동안의 자성 생식도관 내에서의 정자의 장기저장과 생존여부 및 정자이동은 수정을 위한 일종의 mechanism이라 여겨진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