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Yukmijihwangtang, Herbal Formula, on the Liver of Aged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SAM) P8

육미지황탕가미방이 노화된 Senescence Accelerated Mouse(SAM) P8의 간에 미치는 영향

  • 김정상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 신영일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 김희철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 박민희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 나창수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한의학과)
  • Published : 2000.12.01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iscover whether Yukmijihwangtang which was added Plygalae Radix, Acori graminei Rhizoma, has antioxidant effects on aged senescence-accelerated mouse (SAM) P8. The control group used 12 months old SAM P8 a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treated with Yukmijihwangtang extracts from 8 to 12 months old. In the liver, the MnSOD of the control group were approximately 11% higher than that of the experimental group treated with herbal extracts, but CuZnSOD activ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approximately 20%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catalase activiti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approximately 67%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hepatocytes,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with the experimental group, contained the dilated cisternae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and the abnormal mitochondira which had electron-dense matrix and indistinguishable cristae. The inner cavity of the smooth endoplasmic reticulum were slightly dilated, and a number of vacuoles and transitional vesicles occured in of the hepatocytes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herbal extract has an antioxidant effects on the liver of SAM P8.

노화된 노화촉진생쥐 (senescence-accelerated mouse, SAMPB)에 육미지황탕(六味地黃湯)에 원지와 석창포를 가미한 육미지황탕가미방(六味地黃湯加味方)을 4개월간 투여한 후 항산화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간조직의 superoxide dismutase(SOD)와 catalase의 활성도 및 세포소기관의 미세구조적인 특징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대조군은 12개월령의 SAM P8을, 실험군은 8개월령부터 4개월간 약물을 투여한 12개월령을 사용하였다. 간조직에서 MnSOD의 활성도는 노화된 12개월령의 대조군 SAM P8이 육미지황탕가미방을 4개월간 식이시킨 12개월령의 실험군 SAM P8보다 약 11% 정도 높게 나타났지만, CuZnSOD의 활성도는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20% 정도 높게 나타났다. Catalase 활성도는 육미지황탕 가미방을 식이시킨 실험군이 대조군에 비하여 약 67% 높게 나타났다. 전자현미경 관찰 결과, 대조군 SAM P8의 간세포는 실험군에 비하여 과립형질내세망의 내강이 전반적으로 다소 평대되어 있었고, 사립체의 형태는 비정상적이면서 기질의 전자밀도가 높을뿐만 아니라 사립체능선이 뚜렷하지 않았다. 무과립형질내세망은 세포질 전반에 걸쳐 발달해 있었으나 그들의 내강은 다소 팽대해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육미지황탕가미방(六味地黃湯加味方)은 노화된 SAM P8의 간조직에 대하여 항산화 효능이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