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sonal Changes of the Phytoplankton and the Periphyton Community at the Suer Stream in Kwangyang

전남 광양의 수어천 수역에 있어서 식물플랑크톤과 부착조류 군집의 계절적 변화

  • Yoon, Sook-Kyung (School of Life Sciences, The Catholic University) ;
  • Lee, Kyung (School of Life Sciences, The Catholic University)
  • 윤숙경 (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부) ;
  • 이경 (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부)
  • Published : 2000.03.31

Abstract

Seasonal changes of the phytoplankton and the periphyton community were investigated from August 1998 to April 1999 at five stations at the Suer stream in Kwangyang. A total of 112 species of phytoplankton were identified. Of those, the diatoms were present at all stations but the green algae, the bluegreen algae, and the dioflagellates were present at Station 4 and Station 5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stations. The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varied from 10,100 cells/1 at Station 4 in April 1999 to 1,489,100 cells/1 at Station 4 in October 1998. The seasonal variation patterns of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were different among stations as well as the pattern of presence. The dominant species were as follows: Achnanthes minutissima, Aulacoseira distans v. alpigena, Cocconeis placentula v. lineata, Cymbella minuta, C. silesiaca, Fragilaria arcus v. recta, Peridinium cinctum, Rhizosofenia longiseta, Synedra rumpens and filamentous algae. Of those, Achnanthes minutissima, Rhizosolenia longiseta, Synedra rumpens and filamentous algae showed the highest rate of occupation in the phytoplankton standing crops during the investigated periods. A total of 99 species of periphyton were identified. Among those, the diatoms of the periphyton community were observed frequently rather than those of the phytoplankton community. The ecological indicator values showed ${\bate}$-mesosaprobous in saprobity and was close to eutraphentic in trophic state. There were no considerable differences between the ecological indicator values by planktonic diatoms and periphytic diatoms.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일대의 수어댐 담수수역을 중심으로 하는 수어천 수역을 대상으로 이화학적 환경요인, 식물플랑크톤의 종조성과 현존량 및 부착조류에 대한 조사를 1998년 8월부터 1999년 4월까지 총 5개정점에서 실시하였다. 이화학적 환경요인 중 pH는 중성에 가까운 약산성을 나타내었고,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112종류였으며 조사 정점 중 하류수역인 정점 4 및 정점 5에서는 녹조류, 남조류 및 와편모조류의 출현빈도가 높아 정점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출현한 돌말류는 대부분이 소형 깃돌말류였다. 계절별로는 동계에 가장 적게 출현하였고 하계 및 추계에 많이 출현하였으며 정점별로는 하류 정점으로 갈수록 출현종류 수가 증가하였다.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은 1999년 4월 정점 4의 10,100 cells/1이 최저였으며 1998년 10월 정점 4의 1,489,100 cells/1이 최대였다. 정점별 현존량 변이 역시 정점 1, 정점 2, 정점 3에서와 하류수역인 정점 4 및 정점 5에서는 다른 양상을 나타내었다. Achnanthes minutissima, Rhizosolenia longiseta, Synedra rumpens, filamentous algae 등이 조사 기간 중 최고의 점유율을 나타내었으며 이외에 Aulacoseira distans v. alpigena, Cocconeis placentula v. lineata, Cymbella minuta, C. silesiaca, Fragilaria arcus v. recta, Peridinium cinctum등이 주요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부착조류는 99종류가 출현하였는데, 돌말류의 출현빈도가 매우 높았으며 출현종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약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출현종류 수는 동계에 가장 많이 출현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계절별 출현상황과는 차이를 나타내었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및 부착조류 중 각각의 돌말류를 대상으로 Ecological indicator values를 적용시켜본 결과, 본 조사 수역의 수질 오염정도는 ${\beta}$-중부수성을 나타내었으며, 영양상태는 부영양 단계의 근접한 상태를 나타내었다. 부유돌말류 및 부착돌말류의 출현에 따른 Ecological indicator values에는 차이가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한국육수학회지 v.25 no.1 양산천의 부착규조군집에 대한연구 김맹기;김종원;이학영
  2. 환경생물학회지 v.16 no.4 운장산 계류의 식물플랑크톤 종류상과 계절변동 김백호;최민규;정연태;이종빈;위인선;길봉섭
  3. 한국육수학회지 v.29 no.3 섬강 상류의 식물플랑크톤상 연구 신윤근
  4. 담수규조류 연구사;한국식물분학사 개설 이경;정영호(編)
  5.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v.27 월출산 계류수역의 식물플랑크톤 이경
  6. 조종천 상류지역의 플랑크톤;'91 자연생태계 지역조사(환경처) 이경
  7. 자연보존 v.70 무주 설천면 일원의 반딧불과 그 먹이(다슬기) 서식지의 실태조사 보고 이경;김훈수;남상호
  8. 한국해양학회지 v.14 no.1 Shannon의 함수 이범준
  9. 담수조류 연구사;한국식물분류학사 개설 장윤경;정영호(編)
  10.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v.15 월악산 달천 및 주흘산 조령천의 식물성플랑크톤 정영호
  11.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v.13 남한강상류 임계댐 축조예정수역의 식물성플랑크톤에 대한 분류와 구계 정영호;이경
  12.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v.17 칠갑산 및 계룡산 계류수역의 식물성플랑크톤 정영호;이경
  13.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v.20 계방산 계류수역의 식물성플랑크톤 정영호;이경
  14.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v.21 지리산 피아골 계류수역의 생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1) 식물성플랑크톤에 관하여 정영호;이경
  15. 한국자연보존협회 조사보고서 v.23 주왕산 수역의 규조류와 물먼지말류에 대한 분포와 현존량 정영호;노경희;이옥민
  16. 한국육수학회지 v.28 no.1 밀양강의 부착규조 군집 분포 최재신;정준
  17. 한국육수학회지 v.31 no.3 신천의 부착 규조군집의 계절적 동태 최재신;김한순;강만도
  18. Research Review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v.39 Assessment of water quality by epilithic diatoms of Sin-chun water-system Chung, J.;Watanabe, T.H.;Horki, M.K.
  19. Environ. Sci. Technol. v.26 no.1 Diatoms: Powerful indicators of environmental change Dixit, S.S.;Smol, J.P.;Kingston, J.C.;Charles, D.F.
  20. Studies on the Chlorococcal Algae (Chlorophyceae). I. Veda Hindak, F.
  21. Studies on the Chlorococcal Algae (Chlorophyceae). IV. Veda Hindak, F.
  22. Studies on the Chlorococcal Algae (Chlorophyceae). V. Veda Hindak, F.
  23.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Hirose, H.;Yamagishi, T.;Akiyama, M.;Ioriya, T.;Imahori, K.;Kasaki, H.;Kumano, S.;Kobayasi, H.;Takahashi, E.;Tsumura, K.;Hirano, M.
  24. Bacillariophyta (Diatomaceae);A. Pascher die Susswasser-flora Mitteleuropas. Vol. 10. Verlag von Gustav Fisher, Jena Hustedt, F.
  25. Amphora ovalis. Diatom Research v.2 Studies on freshwater Amphora species. I. Lee, K.;Round, F.E.
  26. Algae v.11 no.3 A study on the phytoplankton in the Paldang Dam Reservoir. III. The changes of diatom community structure Lee, K.;Yoon, S.K.
  27. Algae v.13 no.4 Ecological studies on Togyo Reservoir in Chulwon, Korea. IV. The establishment of periphytic algae on artificial substrate at mesocosm Lee, K.;Yoon, S.K.;Han, M.S.
  28. Ecology of freshwater diatoms and diatom communities;The Biology of Diatoms Patrick, R.;Werner, D.(ed.)
  29.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exclusive of Alaska and Hawaii. Vol. 1. Monograph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No. 13 Patrick, R.;Reimer, C.W.
  30. The Diatoms of the United States. Vol. 2 (Part 1). Monographs of The Aca-demy of Natural Sciences of Philadelphia. No. 13 Patrick, R.;Reimer, C.W.
  31. Algae of the Western Great Lakes Area Prescott, G.W.
  32. Netherlands J. Aquatic Ecology v.28 no.1 A coded checklist and ecological indicator values of freshwater diatoms from the Netherlands Van Dam, H.;Mertens, A.;Sinkeldam, J.
  33. Limnology Wetzel, R.G.
  34. Algae;River Ecology Whitton, B.A.;Whitton, B.A.(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