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전체난시에 관한 임상적 연구

A Clinical Study for Total Astigmatism in Korean

  • 황정희 (극동정보대학 안경광학과) ;
  • 성덕용 (대구산업정보대학 안경광학과)
  • 발행 : 2000.06.30

초록

굴절이상 이외의 안과적 질환이 없는 난시성 굴절이상안 164명 328안을 대상으로 타각적, 자각적 굴절검사를 시행하여 난시축의 성별, 연령별 분포, 난시의 정도와 굴절이상의 종류에 따른 난시의 분포를 분석하였다. 전체난시안은 직난시가 248안(75.61%), 도난시가 80안(24.89%)으로 나타났고, 각막 난시안은 적난시가 272안(82.93), 도난시가 54안(16.46%)이었으며 잔여난시는 도난시가 298안(90.85%), 적난시가 4안(1.21%), 난시가 없는 경우가 26안(7.93%)으로 나타났다. 6세에서 56세 이상의 난시안에서 평균 난시도는 0.92D 직난시, 평균 잔여난시도는 0.579D 난시, 평균 전체난시도는 0.342D 직난시로 나타났다. 전체난시는 성별에 따른 관련성은 없었으며 연령에 따른 변화는 30세 이후에 직난시에서 도난시로 변화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각막난시 역시 30세 이전에는 직난시 경향을 보이다가 30세 이후부터 도난시로 변화하는 양상을 보였고 잔여난시는 연령에 따른 특별한 유의성이 없었다.

In this study, total astigmatism and corneal astigmatism were studied 328 eyes of healthy Korean for astigmatism. Total astigmatism was measured by fogging-and-dial technique, and corneal astigmatism was measured with Topcon OM-4 keratometer. Residual astigmatism was determined by a discrepancy between total and corneal astigmatis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s they aged, there wer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otal and corneal astigmatism but not in residual astigmatism. And the amount of with-the-rule total and corneal astigmatism had a tendency to decrease, but residual astigmatism had no changes. From 30 years, total astigmatism showed a tendency to become against the rule. The average diopteric value was +0.342D in total astigmatism. +0.920D in corneal astigmatism and -0.579D in residual astigmatis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