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시점의 위치에 따른 시 표적이 시피질의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EG Wave Type on Visual Cortex of Visual Target according to Position of Fixation Point

  • Kim, Douk-Hoon (Department of Opthalmic Optics, Masan College) ;
  • Cho, Jin-Wook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 Nam, Sang-He (Department of Biomedical engineering, Inje University)
  • 발행 : 2000.06.30

초록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주시점의 위치에 따른 시 표적이 뇌파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이다. 시유발 전위 장치는 BIO-Pag를 이용하였으며, 검사 결과는 586 컴퓨터에 입력하여 분석하였다. 조도는 500lux이여 시표는 직경이 3 cm인 붉은 광점을 사용하였다. 수렴과 개산에 따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시자극에 관계하는 시피질의 뇌파의 출현 빈도는 델타파, 베타파, 세타파, 그리고 알파파의 순으로 나타났다. 2. 수렴 상태는 개산에 비해서 속파 성분이 많이 출현되었다. 3. 수렴은 개산에 비해서 베타파와 알파파가 많아 나타났다. 4. 수렴과 개산에서 진폭에 대한 히스토 그램은 비가우시안 모양이다. 5. 뇌파의 진폭에 대한 위상 분석은 거의 선상을 나타내었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EG wave type on visual cortex of visual target according to position of fixation point on the Korean. Visual evoked potential system used the BIO-Pag and recorded to 586 computer. The illumination was 500 lux and the visual target was red light dot of 3 cm size. The results of the convergence and divergence as follows: The visual stimulation waves on the visual cortex have about 70% of delta wave, about 10% of beta wave, about 9% of theta wave and about 7% of alpha wave respectively. The convergence state was much more appeared the fast wave on the comparative of the divergence. Therefore, the convergence state was much more producted the beta and alpha wave on the comparative of the divergence. On the other hand, on the convergence and divergence, the histogram amplitude of EEG wave appeared almost the non-Gaussian shape. According to the phase analysis of amplitude of EEG wave almost all type was linear shape.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