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체험 활동이 중학생의 "힘과 운동" 학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ports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on Junior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about Force and Motion

  • 발행 : 2000.09.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포츠 체험 활동을 포함한 수업과 전통적 수업간에 힘과 운동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에 대한 흥미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특히 스포츠 체험 활동을 포함한 수업의 경우, 수업 전 스포츠 활동의 경험 정도에 따른 힘과 운동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에 대한 흥미에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조사하였다. 남녀공학의 중학교 1학년 2개 학급 82명(실험집단 40명, 통제집단 42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힘과 운동 단원 수업에서 실험집단은 총 4차시 분량의 예측, 활동, 토론으로 구성된 스포츠 체험 활동을 포함한 수업을 하였으며, 통제집단은 같은 차시의 전통적 수업을 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힘과 운동에 대한 개념을 조사한 결과, 객관식의 경우 정답을 표시한 학생의 비율이 통제집단은 17.2% 증가하였으며, 실험집단은 20.0% 증가하였다. 주관식의 경우 올바른 개념을 가지고 설명한 학생의 비율이 통제집단의 경우 10.4% 증가한 반면, 실험집단은 26.7% 증가하였다. 과학에 대한 흥미에서는 주제 차원에서 통제집단이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0.05). 활동 차원의 세부 범주인 경험적 학습활동과 의사소통적 학습활동에서는 실험집단이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p<0.05). 스포츠 체험 활동을 포함한 수업 전후, 수업 전 스포츠 활동의 경험 정도에 따른 힘과 운동에 대한 개념 변화와 과학에 대한 흥미 변화를 조사한 결과, 스포츠 활동의 경험이 많은 학생들이 경험이 적거나 없는 학생들에 비해 보다 긍정적인 변화롤 보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conceptual changes about force and motion and their interest in science between a group with the instruction including sports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and a group with traditional instruction. In addition, for a group with sports experiential learning activities, students' conceptual changes and interest were examined according to the degree of their sports-experience before the instruction.The subject was 7th-grade students(N=82), an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The conceptual changes were positive in both groups. In the multiple choice questions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20.0%) were more positively changed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17.2%). The number of students who responded with the right explanation increased 26.7%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0.4% in the control group. The interest of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opic dimension(p<0.05). The inter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ential activity and the communicative activity(p<0.05). Students who had much sports-experience showed the most positive changes. Moreover the interest of these students was especially increased in internal motive, receptive activity, experiential activity, and communicative activ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