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화 대칭 변환을 이용한 축소 영상에서의 얼굴특징추출

Facial Feature Extraction in Reduced Image using Generalized Symmetry Transform

  • 팽영혜 (창원대학교 대학원 전자계산학과) ;
  • 정성환 (창원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발행 : 2000.02.01

초록

일반화 대칭 변환(Generalized Symmetry Transform : GST)은 디칭성을 이용하여 영상의 사전 정보 없이 얼굴 특징의 위치를 추출할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나, 눈, 코, 입 등의 특징보다 마스크의 크기가 커야 하므로 많은 처리시간이 필요하다. 그리고, 얼굴의 특징을 결정하기 위해 통계적 처리가 수반되는 중심선 계산으로 인해 처리 과정이 복잡하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첫째, 처리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원 영상 대신 영상의 정보를 충분히 가지는 축소 영상을 사용하였다. 둘째, 중심선 계산을 위해 복잡한 통계적 처리 대신 추출된 첨두치의 위치를 이용하였다. 제안된 방법의 성능을 살펴보기 위해, 정면, 회전, 안경, 수염이 있는 영상 등 200개의 영상에 대해 실험하였다. 그 결과, 제안된 방법은 85%의 특징 탐지율과 기존의 방법에 비해 약 53배 이상감소된 처리시간을 나타내었다.

The GST can extract the position of facial features without a prior information in an image. However, this method requires a plenty of the processing time because the mask size to process GST must be larger than the size of object such as eye, mouth and nose in an image. In addition, it has the complexity for the computation of middle line to decide facial features. In this paper, we proposed two methods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 of the conventional method. First, we used the reduced image having enough information instead of an original image to decrease the processing time. Second, we used the extracted peak positions instead of the complex statistical processing to get the middle lines. To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 we tested 200 images including, the front, rotated, spectacled, and mustached facial images. In result, the proposed method shows 85% in the performance of feature extraction and can reduce the processing time over 53 times, compared with existing method.

키워드

참고문헌

  1. D. Valentin, H. Abdi, A. J. Toole and W. Cottrell, 'Connectionist Models of Face Processing,' a survey, Patterns Recognition Vol.27, pp.1209-1230, 1994
  2. R. Chellappa, S. Sirohey, C. L. Wilson and C. S. Barnes, 'Human and Machine Recognition of Faces : A Survey,' DACA76-92-C-0009, 1994
  3. 이미숙, 김남진, 이호, 임희석, 이성환, '얼굴 영상 의 이해를 위한 얼굴 특징의 자동분석', 한국정보 과학회 HCI'96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부산, pp.205-219, 1996년 2월
  4. T. Sakai, M. Nagao, and T. Kanade. Computer analysis and classfication of photographs of human faces. In Processings of the first USA-Japan computer conference, pp.55-62, 1972
  5. T. Kanade. Picture processing system by computer complex and recognition of human faces. PhD thesis, Dept. of Information Science, Kyoto University, November 1973
  6. R. J. Baron. Mechanisms of human facial recogni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an-Machine studies, 15:137-178, 1981
  7. 이상영, 함국영, 박래홍, '뉴로-퍼지 알고리즘을 이용한 얼굴 인식', 전자공학회논문지, 제32권, B편, 제1호, pp.50-63, 1994년 1월
  8. 윤호섭, 소정, 왕민, 민병우, '고립 영역 분석에 의한 얼굴 요소 추출', 한국정보과학회 논문지 (B), 제23권, 제7호, pp.752-765, 1996
  9. D. Reisfeld, and H. Wolfson and Y. Yeshurun, 'Context-free attentional operators : The generalized symmetry trans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Vol.14, pp.119-130, 1995 https://doi.org/10.1007/BF01418978
  10. D. Reisfeld, and H. Wolfson and Y. Yeshurun, 'Context-free attentional operators : The generalized symmetry transform,'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Vision, Vol.14, pp.119-130, 1995 https://doi.org/10.1007/BF01418978
  11. 허연주, '다중 물체 검출을 위한 일반화 대칭 변환의 RBF 망에 의한 구현', 경북대학교 석사 학위 논문, 1996년
  12. D. Reisfeld, 'Generalized Symmetry Transforms: Attentional Mechanism and Face Recognition,' Ph.D.Tel-Aviv University, January, 1994
  13. A. Samal and P. A. Iyengar, 'Automatic recognition and analysis of human facial expressions: a survey,' Pattern Recognition, Vol.25, No.1, pp.65-77, 1992 https://doi.org/10.1016/0031-3203(92)9000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