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수면박탈이 정상성인의 기분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otal Sleep Deprivation on Mood States of Normal Adults

  • 김현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김린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 서광윤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신경정신과학교실)
  • Kim, Hyu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Lee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uh, Kwang-Yoon (Department of Neuropsychiatry, Kore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0.12.30

초록

목 적 : 수면박탈이 정상성인의 기분상태에 주는 영향을 지속적으로 관찰 평가하고, 박탈시간이 진행함에 따라 변화하는 양상을 파악하며, 기타 기분상태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최소화한 실험적 환경을 마련하여, 수면박탈이라는 단일요인이 기분상태에 주는 영향에 근접하고자 하는 연구를 하였다. 방 법 : 공고를 통해 모집된 20대 초반 미혼 남성 70명 중 체중, 수면일지, 전문의와의 면담, BDI, STAI 검사를 시행하여 이상소견을 보인 17명이 제외되었다. 53명이 수면박탈검사에 참여하였으나, 미세수면을 취한 것으로 판단된 17명이 추가로 탈락되었다. 총 36명이 총 40시간의 수면박탈검사를 완수하였고, 평균연령은 20.8(SD=1.35)세였다. 정상대조군은 43명의 미혼남성으로 공고를 통해 모집되었고, 그 평균연령은 20.6세(SD=1.10)이었다. 검사 1주일 전부터 모든 피험자에게 수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제한 하였다. 피험자들은 이후 외부로부터 빛과 소음이 차단된 방에서 일정 조도의 실내등 불빛 하에 일상적인 활동을 하도록 하였다. 각 피험자들은 40시간의 박탈시간 동안 11차례 GVA(Global Vigor and Affect)를 자가 평가하였고, 관찰중인 전문의는 MARDS(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를 평가하였다. 2일째 밤 10시를 기준으로 모든 검사를 끝마치게 되며, 또 다른 정신과 전문의 1인이 수면박탈자가 누구인지 알지 못한 채, 이들의 기분상태를 정상대조군과 비교하였다. 결 과 : 기분상태는 20시간이 넘어서면서 유의하게 부정적으로 변화하였다. 특히, 수면박탈이 20시간을 경과할 때, 가장 가파른 경사로 기분상태가 부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수면박탈 40시간째의 집단은 정상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우울한 기분을 지니고 있었다. 결 론 : 정상성인의 수면박탈이 기분상태에 주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해, 실험과정에 있어 기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수면 이외의 다른 요인들을 최대한 배제하여 실험을 하였다. 수면박탈은 기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면박탈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기분상태는 더욱 악화되었다.

Objectives: The object of this experiment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sleep deprivation on mood states of normal adults using a subjective scale and an objective scale, minimizing the effect of other factors other than that of sleep deprivation. Methods: Seventy volunteers were first participated in this sleep deprivation schedule, and 36 of them completed this experiment. The subjects and the control group members were all in their early 20's (mean $age=20.8{\pm}1.35$ vs $20.6{\pm}1.10$) and in good health. A log was checked by these subjects from a week before the laboratory study started. Drugs, alcohol and beverages containing any caffeine had been prohibited for a week before and during sleep deprivation periods. The study was performed only in summer to control other factors like sunlight, temperature and moisture. Before this experiment, the subjects had slept adequately for a week at least. On day 1 of the experiment the subjects got up at 6 a.m. and stayed in a sleep laboratory without sunlight or external noises. They could only go about their daily routines. They were forbidden to have a nap and be drowsy. GVA (Global Vigor and Affect) and MADRS (Montgomery-Asberg Depression Rating Scale) were checked 11 times. The data was analysed focusing on the changing mood states. Results: The mood during sleep deprivation became worse as the sleep deprivation time progressed. Especially 20 hours ($GA=59.25{\pm}8.06$, $MADRS=3.43{\pm}1.25$) and 40 hours ($GA=38.83{\pm}9.22$, $MADRS=6.08{\pm}1.46$) after sleep deprivation,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MADRS=6.08{\pm}1.46$ vs $1.07{\pm}1.18$, p<0.001). Conclusions: While controlling factors other than sleep deprivation might have had some influence on mood changes, significant mood changes during sleep deprivation were observed. The mood states became worse as the sleep deprivation progress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