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ed Cerebellar Hyperperfusion on Ictal Tc-99m HMPAO Brain SPECT: Clinical Significance for Differentiation of Mesial or Lateral Temporal Lobe Epilepsy and Related Factors for Development

발작기 Tc-99m HMPAO 뇌 SPECT에 나타난 교차소뇌과혈류: 내외측 측두엽간질의 감별에 대한 임상적 의의와 발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 Park, Soon-Ah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ee, Dong-Soo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
  • Kim, Seok-Ki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
  • Lee, Sang-Gun ;
  • Jang, Myoung-Jin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
  • Sohn, Myung-Hee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Lim, Seok-Tae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Chonbuk National University, Medical School) ;
  • Chung, June-Key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
  • Lee, Myung-Chul (Departments of Nuclear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age of Medicine)
  • 박순아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동수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김석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상건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신경과학교실) ;
  • 장명진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손명희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임석태 (전북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정준기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 이명철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핵의학교실)
  • Published : 2000.08.31

Abstract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whether crossed cerebellar hyperperfusion (CCH) was helpful in discriminating mesial from lateral temporal lobe epilepsy (TLE) and what other factors were related in the development of CCH on ictal brain SPECT. Materials and Methods: We conducted retrospective analysis in 59 patients with TLE (M:41, F:18; $27.4{\pm}7.8$ years old; mesial TLE: 51, lateral TLE: 8), which was confirmed by invasive EEG and surgical outcome (Engel class I, II). All the patients underwent ictal Tc-99m HMPAO brain SPECT and their injection time from ictal EEG onset on video EEG monitoring ranged from 11 sec to 75 sec ($32.6{\pm}19.5sec$) in 39 patients. Multiple factors including age, TLE subtype (mesial TLE or lateral TLE), propagation pattern (hyperperfusion localized to temporal lobes, spread to adjacent lobes or contralateral hemisphere) and injection time were evaluated for their relationship with CCH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CCH was observed in 18 among 59 patients. CCH developed in 29% (15/51) of mesial TLE patients and 38% (3/8) of lateral TLE patients. CCH was associated with propagation pattern; no CCH (0/13) in patients with hyperperfusion localized to temporal lobe, 30% (7/23) in patients with propagation to adjacent lobes, 48% (11/23) to contralateral hemispher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propagation pattern (p=0.01) and age (p=0.02) were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CCH. Conclusion: Crossed cerebellar hyperperfusion in ictal brain SPECT did not help differentiate mesial from lateral temporal lobe epilepsy. Crossed cerebellar hyperperfusion was associated with propagation pattern of temporal lobe epilepsy and age.

목적: 발작기 뇌 SPECT에서 교차소뇌과혈류를 통하여 내측성과 외측성 측두엽간질을 감별할 수 있는지 그 임상적 유용성 여부와 발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침습적 뇌파검사와 수술 후 경과로 확진된 59명의 측두엽간질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예에서 발작기 Tc-99m HMAPO 뇌 SPECT를 시행하였고 평균주사시간은 비디오로 관찰한 간질뇌파시작으로 부터 $32.6{\pm}19.5$초였다. 교차소뇌과혈류와 관련이 있는 요인으로 측두엽간질의 아형(내측성 또는 외측성 측두엽간질), 발작기 SPECT에서 간질병소의 전파되는 유형(측두엽에 국한된 경우, 주변대뇌피질로 전파된 경우 및 반대측 대뇌로 전파된 경우), 환자의 연령, 발작시점으로부터 주사시간의 네 가지 지표를 포함하여 다중로짓회귀분석을 하였다. 결과: 교차소뇌과혈류는 전체적으로 31% (18/59)에서 관찰되었고 내측성 측두엽간질환자는 29% (15/51), 외측성 측두엽간질환자는 38% (3/8)였다. 다중로짓회귀분석결과 SPECT에서 간질병소의 전파되는 유형(p=0.01)과 환자의 나이(p=0.02)가 가장 유의한 결과를 보였다. 즉 측두엽간질에 국한된 경우보다 주변이나 반대측으로 전파된 경우일수록, 환자의 나이가 어릴수록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내외측 측두엽간질의 아형과 주사시간은 통계적 유의성을 갖지 못했다. 결론: 발작기 SPECT에서 내외측측두엽간질을 구분하는데 교차소뇌과혈류는 도움을 주지 못하며 발생과 관련이 있는 요인은 간질병소의 전파유형이나 환자의 나이였다.

Keywords